•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에 있어서 사유상(思惟像)의 특징과 의미고찰 -좌세(坐勢)와 사유(思惟)의 의미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culptures of the Pensive Figure in East Asia : The Meanings of Sitting Posture and Contempl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10
34P 미리보기
동아시아에 있어서 사유상(思惟像)의 특징과 의미고찰 -좌세(坐勢)와 사유(思惟)의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2권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서남영

    초록

    고류지(廣隆寺)의 목조반가사유상과 우리나라 국보 83호의 금동반가사유상과 같이 사유하는 모습을 조형화한 불상은, 인도에서 동점(東漸)한 것이지만, 실제로 가장 유행한 곳은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불상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도상으로 평가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한국미(韓國美)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5~6세기 고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유행한 반가사유상은 비단 불교미술의 상징일 뿐 만 아니라 인간 본연의 사유를 조형화한 걸작이라는 점에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견이 없을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반가사유상이 유행한 배경에는 불교신앙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교리적인 목적에 의한 것이지만, 역설적으로 사유상이 어떠한 신앙적인 배경에서 제작되었고, 왜 유행하였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에서는 종래의 반가사유상=미륵보살이라는 견해에 대하여, 반가사유상의 조형적인 특징인 반가좌(半跏坐)와 사유인(思惟印)의 검토를 통하여, 상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착안했다. 즉 한쪽 다리를 굽혀 다른 쪽 다리의 무릎위에 얹은 반가좌(半跏坐, ardhaparyaṅkāsana)라고 명명하고 있는 앉은 방식과, 손가락을 빰에 대고 사유하는 자세인 반가사유상의 조형적인 특징에 관한 검토를 통해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세가 문헌에서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통해 반가사유상의 근본적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반가좌 및 좌세(坐勢, sitting posture)에 따른 도상의 의미를 살펴보고, 당시에 반가사유상을 대다수 사유상(思惟像)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해, 중국 북조시기(北朝時期)에 한역된 경전에 있어서 「사유」 자체의 의미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반가좌의 검토를 통하여, 반가좌는 좌법 자체만으로 어떠한 성격, 특히 미륵이라고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좌상 중 미륵명문이 있는 상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미륵의 도상으로 수용된 좌세는, 교각좌, 의좌, 유희좌등 민족적인 특성 및 지역성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또한 불교경전의 검토를 통해, 사유인(思惟印)이 싯다르타태자의 사유를 상징한다는 것과, 다른 한편 성중(聖衆)의 실천행으로 사유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북조말 다수 등장하는 사유상의 존재는 성중상(聖衆像)으로서의 사유상(思惟像)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추론했으며, 그 배경에 대해서는 불교신앙의 수용태도와 제작을 주도한 계층의 기호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했다.

    영어초록

    Both of the wooden Pensive Bodhisattva of Koryu-ji, the National Treasure No. 1 of Japan and the gilt bronze one of Korea, the National Treasure No. 83 had been transmitted eastward from India and gained its practical popularity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in China. Above all, Korean No. 83 is estimated to be a central iconography from the studies of the statues of the Buddh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n history, representing the Korean Beauty as well.
    Throughout 5th and 6th century in East Asia, the statues of Pensive Bodhisattva became widely prevalent in fashion symbolizing the art of Buddhism and without doubt worked a fine piece of formative in expression of the way of human nature.
    The transmission of the religious doctrine of Buddhism explains the background of its getting popularity in East Asian regions in general, however, it is quite unclear about how and why in specific.
    As to an opinion that Pensive Bodhisattvas is Maitreya,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ue by investigating the sitting posture and the figure of hands of the Pensive Bodhisattva.
    Putting it in concrete way, the study speculated the meaning of the sitting posture that puts one bending leg on the other lap, called ardhaparyaṅkāsana, and also the fingers on the cheek.
    The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sitting methods and postures could not regulate the opinion of Pensive Bodhisattva and Maitreya to be the same. It was found as well that Cross position, European position and Lalitāsana of Maitrey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 groups in India and Central Asia.
    It was also found in the Buddhist Scripture that the contemplating figure of hands symbolized Siddhartha and other characters around Maitreya reflected Pensive Bodhisattva to carry out what's contemp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