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이중성의 의미와 규범내용 (The Meaning and normative Content of Duality in the Constitu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2
22P 미리보기
헌법상 이중성의 의미와 규범내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가법연구 / 17권 / 1호 / 69 ~ 90페이지
    · 저자명 : 정극원

    초록

    이중성은 ‘하나의 사물이 지니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상반된 성질’ 띠는 것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최고법인 헌법의 규범은 명확하여야 하고 규범 간의 상충이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므로 이중성을 띠는 것이 없어야 한다. 그럼에도 한 개의 요소 또는 한 개의 규범에서 두 가지의 상반되는 성질을 띠는 이중성이 존재한다. 헌법에서 이중성은 첫째, 북한의 이중적 성격, 둘째,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셋째, 기본권 제한의 이중기준의 원칙 및 넷째, 포괄적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 성질과 규범내용을 비교하여 보면 첫째의 경우는 그 처음에는 이중성을 가지지 않았지만 나중에 시대적 상황과 요청이 반영되어 그렇게 변하게 된 것이고, 둘째의 경우는 기본권의 실현과 관련하여 그 속성상 이미 이중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며, 셋째의 경우는 이분법처럼 두 가지의 다른 요인에 따른 구분을 통하여 그 내용을 보다 더 명확히 정리하기 위한 것이며, 넷째의 경우는 두 가지의 성질을 가짐으로서 그 보장에 있어서 보충적 또는 중첩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헌법에서의 성격은 곧바로 강제력을 가지는 효력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하여 규범내용을 보다 명확히 하여야 한다.
    북한은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우리에게 반국가단체임과 동시에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이다. 1948년 헌법의 제정에 있어서는 북한을 오로지 반국가단체로 보았지만, 헌법의 개정 등을 통하여 동시에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가 된 것이다. 이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택한 방법이 법률에의 구체화이다. 국가보안법상에서는 반국가단체로 보는 것이고 남북한교류 협력에 관한 법률에서는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로 보는 것이다. 북한의 이중적 성격과는 달리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은 그 구분이 명확하다. 기본권은 자유와 권리를 통틀어서 말한다. 기본권이라는 점에서는 한 개의 범주이지만, 두 가지의 성격인 주관적 공권과 객관적 가치질서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 권리가 되는 주관적 공권은 헌법상에 보장된 모든 기본권이지만 객관적 가치질서는 그 중에서 포괄적 기본권, 평등권 및 제도보장과 관련된 기본권만 해당하는 것이다. 기본권제한에 있어서 이중기준의 원칙은 그 개념상 이중성이지만 기본권의 종류를 이미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을 전제로 하는 점에서 실제로는 이중성과 관련이 적다. 그러나 제한이라는 한 가지의 사실에서 보면 두 가지의 기준이기 때문에 이중성과 관련이 된다. 포괄적 기본권은 선언적 또는 객관적 헌법원리와 개별 기본권이라는 두 가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진다. 그 적용에 있어서 개별 기본권으로서 먼저 그에 덧붙여서 포괄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이 오히려 헌법규정의 취지에 더 맞는 것이고 주관적 공권을 더욱 강하게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Duality is used to express ‘two different properties of a single thing’. The norms of the constitution, the supreme law, should be clear and there should be no conflict between norms. As such, there should be no duality. Nonetheless, there are dualities of two opposing properties in one element or one norm. In the constitution, first, the dual character of North Korea, second, the dual nature of basic rights, third, the principle of the dual standard of limiting basic rights, and fourth, comprehensive basic rights, are all shown to have a dual character. When comparing nature and normative content, the first case did not initially demonstrate duality, but later, the situation and demands of the times were reflected and thus changed accordingly. In the second case, in relation to the realization of basic rights, duality is already inherent in its nature, and in the third case, it is intended to more clearly organize the contents through division according to two different factors, a sort of dichotomy. The fourth case is distinguished in that it has two properties and utilizes supplementary or overlapping reinforcement to ensure rights. The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 is directly linked to its legal force. In this regard, the content of the norm should be further clarified.
    North Korea has a dual character. It is an anti-state organization to us and, at the same time, a partner in dialogue and cooperation. When the constitution was enacted in 1948, North Korea was viewed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but it became a partner for dialogue and cooperation through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The method chosen to solve the problem of duality is concreteness in law. Under the National Security Act, it is viewed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in the South-North 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it is viewed as a partner for dialogue and cooperation. Unlike the dual character of North Korea, the dual character of basic rights is clear. Basic rights includes freedom and rights. Basic rights is one category, but it can be divided into having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subjective public authority and objective value order. The subjective public rights, which are specific rights, are all basic rights ensured by the Constitution while the objective value order covers only the comprehensive basic rights, equal rights, and basic rights related to institutional security. The principle of double standards in the limitation of basic rights is a duality in concept. In fact, there is little relation to duality in that it presupposes that the types of basic rights have already be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t is a limitation, it is related to duality because it is two separate criteria. Comprehensive basic rights have two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declarative or objectiv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dividual basic rights. In its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view it as an individual basic right having a comprehensive character. This is because it better fits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secures the subjective public authority more firm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