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Cheongeum Sanghyeon Kim’s Appe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06
30P 미리보기
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2권 / 185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하윤

    초록

    淸陰 金尙憲은 선조에서 인조대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사란(壬辰 ‧ 丁酉 ‧ 丁卯 ‧ 丙子)의 소용돌이를 모두 경험한 관료문인이다. 그는 대표적 척화대신으로 국론을 이끌어 조선후기 사회의 국가대의로 기능한 北伐論의 기초를 놓았다고 평가받으며,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여 후세에 節操의 상징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의 문장과 節義는 正祖와 桐溪 鄭蘊에게 극찬을 받았고, 청나라 사람들에게까지도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본고는 조선 중기 淸陰 金尙憲의 疏箚중에서 당시의 실상과 청음의 시대인식을 엿볼 수 있는 時弊疏와 諫諍疏를 통하여, 청음 소차의 槪況과 內容을 파악하였다. 청음의 소차는 모두 140편인데, 上疏와 箚子가 거의 5:5의 동일한 비율로 창작되었고, 諫長에 제배된 1624년을 기점으로 창작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諫長으로서의 책임감을 다하고자 했던 그는 소차에서도 왕에 대한 直諫의 정도를 강하게 표출하였다. 그리고 여러 자리에서 진퇴를 반복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辭免疏와 請願疏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청음은 왕권의 정통성을 확립하여 백성을 안정시키고, 時弊의 匡正을 위해서는 言路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君臣간의 의사 전달 창구가 언로인데, 언로의 開閉는 곧 나라의 存亡까지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언로의 원활한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언로의 수직적인 소통에 이어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公道가 시행되야 함도 강조하였다. 賢才를 기용하고, 近臣들의 直言을 귀담아 들으며, 백성들을 위하는 爲民政治의 모범을 보이는 것이 公道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음 당대의 현실은 私情에 치우쳐 公道政治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力說하고 있다. 또한 上下의 言路가 소통되어 바른 도리인 공도가 회복된다면, 당대의 弊政은 자연스럽게 개혁되고 실추된 민심이 회복되어 人心도 돌아올 것이라고 보았다. 결국 국가가 扶持되는 원동력은 人心이고, 인심은 곧 하늘의 뜻인 것이다.
    청음은 자신이 겪었던 당대의 폐정을 疏箚라는 형식을 빌어 임금께 직언하고 정치에 반영하여 세상을 匡正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임금의 뜻이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하게 되면 하늘도 자연스럽게 왕에게 民治의 정당성을 부여해 준다고 본 것이다.

    영어초록

    From King Seonjo to King Injo, Cheongeum Sanghyeon Kim was caught up in a political vortex in the Joseon dynasty as a bureaucratic literacy man, experiencing massacre of scholars of Imjin, Jeongyu, Jeongmyo, and Byeongja. His repu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d that he was a representative minister who rejected peace and he established base of sending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which served as a country representative. Also, he was highly praised as his image of integrity, putting high value on moral obligations and loyalty. In addition, his writings and moral obligations won rave reviews from Donggyeo Jeongon and even Ching people admired him with great a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eongeum’s appeals focusing on its overall condition and contents to explore re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he times through looking at the letters of correcting corruptness of the times (Sipyeoso) and that of begging (Ganjaengso). Total number of Cheongeum’s appeals is 140, created in the ratio of 5: 5 between appeals and simple form of appeals (Chaja). The period of creation was focused on 1624 when he was appointed as a chair of appeals; he strongly expressed his appeals to King directly in his appeals to fulfill his duty as a chair of appeals and his repeated appointment in various positions brought many letters of begging and appeals in general.
    He argued that the press was highly important to secure King’s legitimacy, to stabilize people’s livelihood, and to correct corruptness of the times. According to what he asserted, it was the press that could make communication clearly and effectively between king and servant. He believed the opening and closing could cause one nation failed by emphasizing good communication of the press. On top of that, he put a stress on implementing path of justice that could be used in common in addition to vertical communication of the press. What he suggested as a path of justice was employing a man of knowledge and wise, listening to plain speaking, and showing exemplary politics for the people. In spite of his idea of a path of justice, situation of the time was, paradoxically, too much biased by personal feeling to implement it. With regaining a fair path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press up and down, he believed negative effects of the politics could be renovated and people’s alienated mind would be recovered naturally, bringing people’s mind back; driving force of a nation is the mind of the people and the mind of the people is the mind of heaven.
    Fit into a pattern of appeals, Cheongeum spoke plainly the negative effects of politics he had experienced and sought to reflect them on politics for correctness. In this way, authority of legitimacy he believed would follow naturally and endow king to rule over the people from the heaven when king’s mind conformed the mind of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