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등비교표지 ‘像’의 문법화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Equal Comparative Marker "Xiang(像)")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03
30P 미리보기
동등비교표지 ‘像’의 문법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3호 / 165 ~ 194페이지
    · 저자명 : 최재영

    초록

    현재까지 학계에서의 동등비교표지 ‘像’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문법화이론의 관점에서 표준중국어에서 사용되는 ‘NP1+Pre像+NP2+W’ 문형과 ‘NP1+Pre像+NP2+X+W’ 문형 중의 동등비교표지 ‘像’을 전치사로 보고, 明清시기의 10종 문헌과 CCL Corpus에서 검색한 现代 작가 6인의 작품에 출현한 예문의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像’의 문법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단계 ‘NP1+V像+NP2’ 문형의 출현. 先秦시기부터 宋代까지 ‘NP1+V像+NP2’ 문형이 계속해서 출현하고 있는데 이 문형에서 동사 ‘像’의 문법화가 직접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유사하다, 비슷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像’이 다른 허사의 도움 없이 ‘유사함의 기준’을 목적어로 동반할 수 있었기에 2단계에서 비교결과(W)의 출현과 함께 동등비교표지로 문법화될 수 있는 전제 조건을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2단계 ‘NP1+Pre像+NP2+W’ 문형의 출현. 明代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NP1+V像+NP2’ 문형에 비교결과(W) 성분이 출현하는 ‘NP1+Pre像+NP2+W’ 문형이 출현하였다. 이처럼 한 문장 안에 형용사 또는 동사가 비교결과(W) 성분으로 출현하면서 문장의 서술중심은 ‘像’에서 비교결과(W) 성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像’은 ‘유사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에서 동등비교표지로 문법화되기 시작하였다.
    셋째. 3단계 ‘NP1+Pre像+NP2+X+W’ 문형의 출현. 2단계에서 비교결과(W) 성분의 출현으로 인하여 문장의 서술중심의 이동으로 인해 문법화가 시작된 ‘像’은 明清시기 수식성분(X)가 부가된 문형의 출현 이후 문법화가 더욱 진행되었고, 现代후기 이후 높은 출현빈도와 함께 문법화가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유사하다’의미 동사 ‘像’은 동등비교표지로 문법화된 후에도 여전히 동사로서의 기능(NP1+V像+NP2)과 전치사로서의 기능(NP1+Pre像+NP2+W/NP1+Pre像+NP2+X+W)을 함께 가지고 있는 층위화 현상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grammaticalization of the equal comparative marker "Xiang(像)" has scarcely been studied in the academic world. This paper considers "Xiang(像)" used in Mandarin in both of the sentence pattern "NP1+Pre像+NP2+W" and "NP1+Pre像+NP2+X+W" as preposition in terms of a theory of grammaticalization. It then investigates the grammaticalization of "Xiang(像)" using a total inspection involved the example sentences in ten documents of the Ming(明) and Qing(清) dynasties and six works of modern writers searched on CCL Corpu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stage is the appearance of "NP1+V像+NP2". From the pre-Qin(先秦) period to the Song(宋) dynasty, the sentence pattern "NP1+V像+NP2" appeared in succession, though the verb "Xiang(像)" in this pattern was not grammaticalized directly. Still, it can be considered as a pre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grammaticalization toward an equal comparative marker "Xiang(像)", with the advent of a comparative outcome(W) at the second stage, because of the fact that this verb, meaning "similar, alike", could accompany "standard of similarity" as an object without any help from any function words.
    Second, the second stage is the appearance of "NP1+Pre像+NP2+W". At the beginning of the Ming(明) dynasty, the sentence pattern "NP1+Pre像+NP2+W" appeared, which is the pattern "NP1+V像+NP2" accompanying the comparative outcome(W). As the adjective or the verb appeared as a comparative outcome(W), the focus of description in the sentence was moved from "Xiang(像)" to the comparative outcome(W). Accordingly, "Xiang(像)" was grammaticalized from the verb meaning "similar" to the equal comparative marker.
    Third, the third stage is the appearance of "NP1+Pre像+NP2+X+W". "Xiang(像)" which began to be grammaticaliz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focus of description in the sentence, caused by the advent of the comparative outcome(W), had become more grammaticalized, since the sentence pattern the modifier(X) was added to appeared in the Ming(明) and Qing(清) dynasties. It then seems to have had completely been grammaticalized since late modern period, along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Fourth, although the verb "Xiang(像)" meaning "similar" was already grammaticalized to the equal comparative marker, it still functions as a verb(NP1+V像+NP2)as well as a preposition(NP1+Pre像+NP2+W/NP1+Pre像+NP2+X+W), which represents a layering phenom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