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판적 담화 분석에 기초한 이주노동자의 표상에 관한 연구: TV 다큐멘터리 <글로벌 아빠 찾아 삼만리>를 중심으로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Representation of Migrant Workers: Focusing on a Korean TV Documenta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8
35P 미리보기
비판적 담화 분석에 기초한 이주노동자의 표상에 관한 연구: TV 다큐멘터리 &lt;글로벌 아빠 찾아 삼만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연구 / 40권 / 2호 / 171 ~ 205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본 연구는 매체의 틀 짓기가 이주노동자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주노동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TV 다큐멘터리 <글로벌 아빠 찾아 삼만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발화와 내레이터의 발화를 비판적 담화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이들의 발화에서 과어휘화(overlexicalization) 전략을 통해 생성된 담론을 밝혀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이주노동자의 발화에서 과어휘화된 텍스트들은 이주노동자를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규정하는 담론으로 집약되었다. 이주노동자의 발화에는 힘든 업무 때문에 건강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본국의 가족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 끊임없이 일하는 모습, 한국인 관리자로부터 따뜻한 보살핌과 각종 지원을 받는 모습이 강조되어 있었다. 한편 내레이터의 발화에서 과어휘화된 텍스트들은 이주노동자를 하층 일꾼이자 성공적으로 적응한 타자로 규정하는 담론으로 집약되었다. 내레이터의 발화에는 이주노동자의 발화에서 강조된 건강 문제와 경제적 문제가 소략하게 다루어진 대신 한국인 관리자가 이주노동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모습, 이주노동자가 한국 문화를 향유하는 모습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 관리자의 평가는 칭찬 일색이었으나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한국인 동료나 관리자의 지시에 순응하는 것에 대한 칭찬이 주를 이루었으며 한국 문화와 관련해서는 이주노동자가 한국 문화에 동화되었다는 점이 강조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 프로그램이 이주노동자를 부정적 틀 안에서 사회적 약자이자 타자로 규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presentation for migrant workers depicted in a Korean TV documentary series titled ‘Finding My Daddy’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formation of discourses by overlexicalization strategy based on transcribed materials for interviews with migrant workers and narrations in the program. Through the interviews, the program overemphasized migrant workers have been kept working to remit almost all the salary to their family suffering from financial hardship although being in ill health caused by physically demanding job and they have been supported by Korean supervisors. It led to a discourse considering migrant workers as objects of pit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narrations, the program overstressed Korean supervisors have positively assessed migrant workers and the workers have been successfully assimilated into Korean culture. However as for the supervisors’ statements, they lavished praises on the workers for obeying their commands. It produced a discourse regarding migrant workers as the lower class and acculturated oth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is program categorized migrant workers as the social weak and the other in the negative frame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