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씨삼대록」의 여성의 놀이문화 연구 (A Study on the Recreation Culture of women in Yussisamdaer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유씨삼대록」의 여성의 놀이문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8호 / 267 ~ 298페이지
    · 저자명 : 한길연

    초록

    조선후기 대하소설은 당대의 문화를 섬세하게 재현해냄으로써 단순한 ‘서사물’을 넘어서 ‘문화의 집적체(集積體)’로서의 면모를 지닌다. 그 중 「유씨삼대록」은 특히 당대의 문화를 실제에 근접하게 재현하려는 의식이 강한 작품으로,작시(作詩), 연회(宴會), 잡기(雜技), 친잠의(親蠶儀) 등의 여성의 놀이문화에관한 형상화가 매우 구체적이었다.
    먼저 여성들의 작시 문화에서는 한 집안의 여성들이 모여 시를 짓는 데서끝나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도 참여하여 시에 대해 품평을 함으로써 남녀 간의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이를 병풍으로 제작하여 남김으로써 두고두고완상했던 문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조선시대 여성들 간의 깊이 있는 연대의식, 그리고 여성과 남성 간의 깊이 있는 소통이 작시 문화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여성들의 연회 문화에서는 여성들끼리 모꼬지를 열어 즐기는 과정에서의 상을 차리는 방식, 상에 올리는 음식, 연회자리에서의 예절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상층의 가문에서는 상을 개인별로 차려서 먹었고,이러한 음식에는 산해진미와 더불어 그간 아껴두었던 술까지 내어와 즐겼으며, 이런 과정에서 때로는 다툼이 일어나기도 했던 정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윤리교과서적인 연회 문화의 재현이 아니라 실제로 일어나기 쉬웠을 생생한장면들이 이들 연회에 담겨져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세 번째로, 바둑, 투호 등의 잡기 문화는 여성의 놀이문화 중 일상적이라고할 만큼 빈번히 등장하며, 여성이 자발적으로 하기보다는 어른의 명령을 받고어른들을 기쁘게 해드리기 위해 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남녀 간에 하는 경우도 부부 혹은 남매간의 범위를 넘지 않아 일정한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고있었다. 이런 가운데서도 아내가 자신을 박대한 남편을 잡기에서만큼은 손쉽게 이기는 장면을 설정함으로써 놀이문화가 주는 ‘일상으로부터의 일탈’이라는통쾌함을 표출하고 있었다.
    네 번째로, 친잠의는 일종의 궁중의식이지만 성대한 놀이문화로서의 성격을띠면서 최상층 여성들의 놀이문화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궁중에서 친잠의를 준비하는 입장이 아니라 친잠의에 초대받은 최상층 가문의 여성들의 입장에서 친잠의에 관해 형상화함으로써, 친잠의 자체에 대한 절차뿐만 아니라이런 연회에 참여하는 기대와 흥분, 그리고 영광스러움까지 담아내고 있었다.
    이처럼, 「유씨삼대록」에서는 상층 여성들의 놀이문화를 섬세하게 형상화하고있으며, 이 중 시를 병풍으로 만들어 향유하는 장면, 궁중의 연회인 친잠의에참여하는 장면 등은 「유씨삼대록」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유씨삼대록」에 묘사된 여성의 놀이문화는 실록, 문집 등의 문헌기록에도간혹 보이는데, 이들 기록은 「유씨삼대록」에 재현된 여성의 놀이문화가 사실에 바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한편, 실록 등에서는 놀이문화에대해 소략하게 서술하고 있어 여성들이 이를 즐겼을 때의 감흥 등에 대한 내용은 소거되어 있기 쉬운데 「유씨삼대록」에서는 이런 놀이문화를 하나의 영상처럼 선명하게 형상화함으로써 구체성을 확보한다. 이처럼 실제 역사 기록 속의 여성의 놀이문화와 「유씨삼대록」 속의 여성의 놀이문화는 상보적으로 공명하면서 조선후기 여성의 놀이문화를 재구해 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최근의 옛 놀이문화에 대한 연구가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간혹 보이는 여성의 경우에도 일반 여성들의 놀이문화를 위주로 이루어진데 반해, 「유씨삼대록」 등의 대하소설은 상층 여성들의 고급한 놀이문화를 부각시킴으로써 조선시대 여성의 놀이문화를 재구해내는 토대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river novels of the late Chosun Dynasty function as the 'cultural integrations' beyond the simple 'narratives' through reproducing the culture of those days. Among those novels,Yussisamdaerok is the work that has strong mindset toward reenaction of the cultural reality of those days. And the recreation culture of women as verse making, banquet, all-round entertainment, and a silk farming in this novel has been embodied very vividly.
    First, in case of verse making, we could examine the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point that women in a family gathered and made verses and men joined and evaluated on the poetries created by women. Furthermore, they weaved the poetries into a folding screen and appreciated for a long time. Second, in case of banquet culture of women, we could get informations about the way of setting the table, the foods on the table, the courtesy on banquet and so on. For an example, families belonging to the upper class set the table for individuals and enjoyed all sorts of delicacies and up to the alcoholic drinks prepared for a special occasion. Thirdly, we could see the all-round entertainment, being described most frequently, was performed for elders rather than for women themselves in any case. Lastly, the silk farming, in spite of being a kind of the Court ceremony, had a appearance of magnificent recreation culture and completed the women culture of the uppermost class.
    The aspects of recreation culture, described in Yussisamdaerok,are seen in the Annals of the Chosun or other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s well. These records say that the recreation cultures reenacted in Yussisamdaerok are based on the fact. Furthermore women's cultures of those days in this novel were created concretely and vividly. We can say that the upper class women's recreations reproduced in Yussisamdaerok can be a basis of reconstitution of the whole women's recreation culture of Chos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