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종삼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 (Buddhist thought underlied in Mou Zhongsan's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5.08
32P 미리보기
모종삼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83호 / 311 ~ 342페이지
    · 저자명 : 김제란

    초록

    이 글은 중국 근현대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모종삼(牟宗三, 1909-1995)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저인 『불성과 반야』를 중심으로 모종삼이 불교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모종삼은 ‘도덕적 형이상학’을 건립하기 위해 유학 뿐 아니라 불교 사상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는 불교의 내재적 발전은 반드시 중국 불교의 진상심(眞常心) 계통으로 나타난다고 본 전제 위에서 『기신론』의 ‘일심개이문(一心開二門)’ 도식을 선택하고, 이문(二門)에서 각각 일체법을 존재론적으로 포섭하고 있다는 ‘이중 존재론’을 제기하였다. 심생멸문은 생멸하는 현상계를 설명하는 ‘집착의 존재론’이고, 심진여문은 진여계를 설명하는 ‘무집착의 존재론’이 된다.
    그러나 모종삼은 중국 불교의 대표적 발전 유형이라고 할 화엄종과 천태종에 대해서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보다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에 훨씬 큰 가치를 두었던 것이다. 그는 화엄종은 중생과 격별해있으므로 그 원교(圓敎)는 단지 ‘탑의 정상’과 같은 형식에 그치게 되고, 성불은 반드시 일체의 생사오염법을 단절해야 하므로 성불의 방식에 ‘격별’의 성질이 있게 된다는 점을 한계로 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화엄종이 궁극의 원교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모종삼은 천태종의 일념삼천(一念三千)설이 ‘일념무명법성심(一念無明法性心)’으로 표현되고, 삼천세간법을 보존하게 하여 현상계의 모든 존재에 존재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점을 중시하였다. 일체법의 존재를 보존한 뒤에야 ‘불교식의 존재론’이 성립하게 되고, 이것이 천태종이 진정한 원교가 되는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천태 원교는 일체법을 일종의 평지로 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시각은 천태종 교판을 새롭게 수정한 교판에서도 잘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모종삼은 천태종 ‘원교(圓敎)’ 모델을 활용하여 현대신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유식종이나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은 모두 불성을 다르게 이해하지만, 가장 원만한 불성론은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적 형이상학을 확립시킨 만큼, 모종삼 철학에 불교 사상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Buddhism represented in the philosophy of Mou Zhongsan,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history of modern Chinese philosophy. Therefore I examined how he interpreted Buddhism to set h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ed on Buddha-nature and Prajna.( 『佛性與般若』) Mou utilized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Buddhism to establish 'Moral Methaphysics', the doctrine of Modern New Confucianism in modern China. His analysis of Buddhism centered on the concept of 'Buddha-nature'. He chose the idea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大乘起信論』) and proposed 'Double Ontology'(兩層存有論). The idea of 'the One Mind Opens Two Gates'(一心開二門) means the high valuation of realism, through the unity 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He argues that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means 'Ontology of 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phenomena world, and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is related to 'Ontology of non-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world of Suchness'.
    Among the teachings of various Chinese Buddhist schools, Mou regards Hua Yen Buddhism (華嚴宗) and Tian-Tai Buddhism(天台宗) the most important. But Mou shows a totally different attitude about them. Through analysis of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he demonstrated how Tian-Tai Buddhism can explain the origin of both impure and pure dharmas. He valued the Tian-Tai's doctrine that the Buddha-nature includes both good and evil(天台宗 性具論) more than Hua Yen Buddhism. And he insisted that Hua Yen teachings contain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from everything, so he thought that is the reason why Hua Yen doctrines are not 'perfected teachings'(圓敎). He insisted that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can give everything of the phenomena world the ground of ontology, which is called 'Buddhistic Ontology'.
    In conclusion, Mou insisted that the theory of 'Perfected Goodness'(圓善) is the ultimate goodness, using the model of Tian-Tai's 'Perfected teaching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Buddhist thought has a great role in establishment of Mou Zhongsan'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