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로 망라하는 지엄은 특히 淨門, 그 중에서도 '본래의 진실성'에 초점을 맞추는 本有와 本有修生에 의해 화엄의 사상적 개성을 드러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의도를 性起論 ... 을라도 더러움을 갖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법계연기 사상이다.{) 上同3. 智儼의 性起思想60『華嚴經』「性起品」의 '性起'라는 용어를 주목하여 성기론을 출발시킨 사람은 智儼이 ... 가 법계연기를 구성하면서 설정한 淨門의 本有와 本有修生에 상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性은 本有에, 起는 本有修生에 각각 상응하고 있는 것이다. 화엄의 연기사상을 淨門과 染門의 법계
검토를 선행해야 할 것이다.한편 의상의 화엄사상은 전체보다는 가장 근본적인「하나」를 중시하려는 횡진법계론(橫盡法界論)을 펴면서 성기론적(性起論的) 입장을 견지하였다. 반면 법장 ... 신라 의상계(義湘系) 화엄종에 속해 있었으므로 신라 하대의 화엄종세(勢)가 계속 유지되어 왔음을 알려준다. 10찰을 중심으로 화엄종 승려들이 상당히 활동했을 것이지만, 그 ... 하대에 화엄종 승려들의 활동이 계속 이어져 갔다. 원성왕(元聖王)대에는 화엄종 승려로 생각되는 지해(智海)ㆍ묘정(妙正)ㆍ연회(緣會) 등이 있었다. 신라 하대에 화엄종 승려가 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