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과 삶의 시적 차원: ‘존재’와 ‘사고’와 ‘거주’ (The Poetic Dimension of Education and Living: Being, Thinking, and Dwell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1.12
28P 미리보기
교육과 삶의 시적 차원: ‘존재’와 ‘사고’와 ‘거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교육연구 / 23권 / 2호 / 189 ~ 216페이지
    · 저자명 : 서용석

    초록

    “학문은 사고하지 않는다”는 후기 하이데거의 유명한 명제는 학문적 지식을 주된 교육내용으로 삼아온 인류의 오랜 교육전통의 가치를 근본적으로 의심하는 위험한 주장으로 간주되기 쉽다. 그러나 하이데거 존재론의 전체적인 틀 속에서 이해될 때 그 명제는 지적 활동으로서의 학문의 가치를 맹목적으로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근원적 원천으로서의 ‘무' 또는 ‘존재 자체'를 강조하여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자신의 근원적 성립기반으로서의 ‘무'를 망각할 때, 학문 활동은 더 이상 존재자의 ‘있음'에 경이를 느끼지 못한 채 단지 지식의 단편들을 모으고 분류하는 활동으로 전락하게 된다. 결국, 하이데거의 그 명제는 진정한 ‘사고'가 어떤 것인가를 말해주고 있으며, ‘사고'를 하며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의 참된 ‘거주'의 방식을 그려내고 있다. ‘사고'는 우리에게 다가오면서 동시에 물러가는, 결코 멈추지 않는 존재의 자발적인 운동에 대한 인간의 수용적 응답이며, ‘거주'는 이 수용적 응답을 자신의 존재적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인간이 세계에 대하여 나타내는 삶의 태도를 가리킨다. 사고와 거주가 ‘시적’인 것은 그것이 존재의 현시를 돕는 것이기 때문이며, 또 한편 그럼으로써 완전히 현시될 수 없는 존재의 의미를 우리의 삶 속에서 선명하게 부각시키기 때문이다. 시적 거주자는 존재를 자신의 삶의 실천 속에서 확립해나가는 사람을 가리키며, 하이데거 존재론이 그려내는 교육받은 사람의 모습은 여기서 확인될 수 있다.

    영어초록

    “Science does not think.” is a notorious claim of the later Heidegger, which is often taken to undermine or depreciate the great tradition of education concerned with theoretical knowledge. The business of this paper is to offer one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is claim by way of situating it within a wide range of Heidegger's ontological writings.
    Heidegger's deconstructive reading of the entire tradition of Western metaphysics leads him to the view that all the great systems of metaphysics in many historical epochs share the same structure, which can be dubbed ‘onto-theo-logy’ as the conflation of ontology with theology. Against the alleged claim that metaphysics as onto-theo-logy is concerned exclusively with ‘being’, Heidegger argues that what it has entertained as ‘being’ is in fact beings or entities, not being as such. According to Heidegger, what has been forgotten in the tradition of Western metaphysics and also of sciences is the Nothing or ‘being as such’ that functions as the primordial ontological source from which all the ‘why’ questions of metaphysicians and theorists arise. It is of course fully acknowledged that the claim “Science does not think.” should be rea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Heidegger's somewhat dismal ontological diagnosis of the modern age. Efforts, however, are also made not to have the early Heidegger's constructive insight on the primordial ontological source of sciences overshadowed by the later Heidegger's narrative of the history of being.
    With the highly provocative claim “Science does not think.”, it is then argued, Heidegger hints at the possibility of authentic ‘thinking’. Thinking in the genuine sense is a human being's receptive response to the self-revealing and self-withdrawing movement of being as such. Likewise, ‘dwelling’ refers to an appreciative and reverent attitude of a human being towards the world. For a poetic dweller, the world is the place in which the mystery of being, not his manipulating will, holds sway. A poetic dweller is the man who lets what is not yet present arrive into presencing and thereby embraces his ontological duty as a poetic responder. The person who thinks and dwells in this way is an educated man in the Heideggerian sense. One of the most valuable lessons we learn from Heidegger's ontology is that thinking and dwelling in this sense should be the true concerns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