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삶의 질 척도 타당화 연구 (Adolesc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03
32P 미리보기
청소년 삶의 질 척도 타당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복지연구 / 14권 / 1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신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질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기존 도구를 고찰하여 97문항을 취합하였다.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4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에비조사를 실시한 후 문항 분석을 통해 59문항을 선별하였다. 이 문항들에 대해 2,265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 재분석을 실시하여 38문항으로 이루어진 6요인을 도출하였다. 6요인은 만족감, 친밀감, 안정감, 의미성, 주도성, 정서성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다시 82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이전 요인분석에서 밝힌 요인구조의 적합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쾌락적 접근으로의 만족감, 안정감, 정서성과 자기실현적 접근으로의 친밀감, 의미성, 주도성의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청소년 삶의 질 전체와 각 하위요인들 간 상관관계, 요인타당도를 산출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 삶의 질과 우울, 학교생활적응, 자기존중감, 낙관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통해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삶의 질 척도가 우울 집단과 비교 집단, 낙관 집단과 비교 집단을 잘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나 변별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삶의 질 척도는 내적 일치도, 반분신뢰도, 5주 간격의 검사 재검사를 통해 내적 일관성, 시간적 안정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청소년의 삶의 질 척도는 삶의 질의 영역들을 발견하였고 이 요소들이 철학적 관점에서의 쾌락적 및 자기실현적 접근으로 포함되는 위계적 구조임을 밝혔으며 두 접근을 포괄하는 통합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s out to construct the content of quality of life, and validate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ontent. In validating the inventory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s and proved existing scales. We the collected the 97-items for the Adolesc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QoL). It was the approved by professionals in these fields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 then selected the 59-items aft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tem analysis for 41 middle school students. And we were able to draw 38 questions in six area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analysis based on 2,26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us, the 38-items and six areas A-QoL is valid. This scale consists of six factors: Satisfaction, Intimacy, Stability, Meaningfulness, Initiative, and Affectivity. Also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82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can confirm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A-QoL is also reliable. In the light of this finding, we categorized in the areas of hedonia and eudaimonia, which were then sub-categorized into satisfaction, intimacy, stability, meaningfulness, initiative, and affectivity: hierarchical model structure about hedonic A-QoL (satisfaction, stability, affectivity) and eudaimonic A-QoL (intimacy, meaningfulness, initiative). We could check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through A-QoL sub-factors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ial validity: so the overall A-QoL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f its sub-factors and the overall A-QoL and each of its sub-facto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djustment to school life, self-esteem, and optimism for adolescents. And we could examine evidence based on relations to other variables in test-criterion relationships and discriminant evidence: so the A-QoL is capable of discrimination between depressive and normal groups, optimistic and non-optimistic groups, thus the A-QoL is a valid scale. Additionall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omputed, so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general internal consistency and timing stability of the A-QoL.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include expanded explanation for the quality of life for adolesc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