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의 삶 (The Experiences of the Family Life of Parents of Missing Childr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의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 / 48호 / 137 ~ 161페이지
    · 저자명 : 권자영, 박향경

    초록

    본 연구는 자녀실종이후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의 삶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이해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실종아동가족의 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자녀실종이후 부모의가족생활경험을 자녀의 실종당시, 자녀 찾기와 남아있는 가족 사이, 가족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앞으로의 삶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갑작스런 자녀의 행방불명으로 ‘청천벽력의 생이별’의 자녀실종을 경험하였다. 이후 실종자녀를 찾는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터전은 황무지화되고, 가족의 삶은 자녀가 실종된 그 때의 시간에 갇히게 되고, 부부관계의 파국과 심신의 황폐화에 이르는 위기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이는 ‘생지옥의 아비규환’으로 체험되고 있었다. 결국 연구참여자들은생지옥 속에서 살아내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가족 스스로 ‘자력갱생’ 의 노력과 자조모임,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이는 ‘지옥에서 붙잡은 지푸라기’로 체험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의 현재와 앞으로의 삶은 ‘놓을 수 없는 손’인 실종자녀를 찾는 일과 ‘놓칠 수 없는 손’ 인 남아 있는 가족과의 ‘공존공생’으로 체험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기에 노출되어 있는 실종아동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가족사회복지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epl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the family life of parents after their children goes missing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Eight different parents of missing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family life experience of parents after their children goes missing was considered in four different aspects: at the time of the child’s disappearance, balancing between child-searching and caring for the remaining family, efforts to maintain the family, and the days to com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heart-wrenching separation like a bolt from the blue”due to the sudden disappearance of their children. Afterward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missing child, the living found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lay in waste, family lives became trapped in the moment of the child’s disappearance, and the parents encountered crises of destruction of marital relation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astation, which were all experienced as“hellish pandemonium.”Eventually,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efforts to survive this living hell.
    Research participants utilized self-reliance efforts, self-support groups, and family support services during this process, which were experienced as“last-ditch efforts to clutch at any straws.”The present and future l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ed as searching for“the one they cannot give up”and “coexisting symbiotically”with the remaining family, “the ones they cannot lose.”Finally, the implications for family social welfare in order to support families of missing children exposed to dangers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족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