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치원의 삶과 시적 대응 (Choi Chi-won’s Life and Poetic Respon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08
40P 미리보기
최치원의 삶과 시적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7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김은미

    초록

    우리문학사에서 최치원의 족적은 매우 뚜렷하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은 그의 명편들을 단편적으로 다루거나 그의 시에 드러나는 일부 특징을 확대 해석하여 최치원 시 세계의 실상을 올바로 파악해 내지 못한 면이 있다. 본고는 최치원의 삶의 특징적 변화를 보이는 지점에서 그의 시적 대응도 변화를 보인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그의 삶과 그의 시가 조응하고 있음을 분석하여 그의 삶의 자세와 변화를 시 세계의 변화와 함께 검토하였다.
    최치원의 삶은 그 출발부터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는 자신의 삶의 문제들은 노력으로 극복 가능하다고 보았다. 육두품의 신분적 제약은 당나라 유학을 통해 극복하려 했고, 실제로 인백기천(人百己千)의 노력으로 과거에 급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외국인으로서의 그의 위치는 당나라에서 불안하기만 했다. 관직을 받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했고 기다려 얻는 것도 말단관직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치원은 박학굉사과를 준비하였으나 형편이 여의치 않자 고병의 막부에 들게 된다. 자신의 노력으로 앞길을 개척하려 한 것이다. 이때 쓴 진정시(陳情詩)는 문학적 역량을 이용하여 영달의 길로 나아가려한 최치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적극적 대응은 신라 귀국 후 헌강왕에게 지어올린 ≪계원필경집≫의 찬술 목적에서도 확인된다.
    다른 한편, 최치원은 중국에 머무는 동안 소지음(少知音)의 상황을 절감하였다. 타국에서 외국인으로 살아가는 동안 이런 소지음의 인식은 심화되었고 그가 느끼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거리도 차츰 더 멀어져 갔다. 이런 상황은 신라 귀국 후에도 이어졌고 이런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도 여러 차례 시로 형상화되었다.
    신라 귀국 후 오래지 않아 외직을 전전하게 되면서 최치원은 은거 지향을 구체화시킨 듯하다. 자신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현실적 문제를 인정하게 된 것이다. 그러자 동경의 대상이기만 하던 자연 공간이 자신을 의탁할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탈속과 은거를 지향하는 자세는 여러 차례 변화를 보이며 심화되다가 마침내 종적을 감추는 방식으로 귀결되었다.
    이 연구는 삶에 대한 최치원의 여러 자세들을 살피고 그런 삶의 자세가 그의 시 세계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런 작업은 그래서 그의 문학적 삶을 재구하고 최치원 시 세계의 실상에 다가서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hoi Chi-won’s footprints are quite remark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owever, previous studies treated his masterpieces fragmentarily or exaggerated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his poetry, failing to grasp the reality of Choi Chi-won’s poetic world.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fact that Choi Chi-won exhibited his poetic responses at the points of time when he experienced characteristic changes in his life. By analyzing how his poetry interacted with his life, this study explored the attitudes and changes of his lif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is poetic world.
    Choi Chi-won’s life was very active from the beginning. He believed that he could overcome his life problems through efforts.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restriction in his social status under the rank system of Shilla through studying in China, the Tang Dynasty, and succeeded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rough the efforts of Inbaekgicheon (人百己千 - ‘I do 1000 times when others do 100 times’). His position as a foreigner, however, was quite unstable in China. He had to wait long until being appointed as an official only to get an obscure position. In order to escape from such a situation, he prepared Boxuehongcike (博學宏辭科 - Erudition and Literacy Examination), but because of adverse situations he joined the camp of Gao Bing (高棅). It was to open up his future through his own efforts. Pleading poems (陳情詩) he wrote in those days show Choi Chi-won’s struggle to rise using his literary talents. Such an active response is also confirmed in the purpose of compiling Gyewonpilgyeongjip dedicated to King Heongang after returning to Shilla.
    While staying in China, on the other hand, Choi Chi-won felt keenly the situation of Sojieum (少知音 - having no friend upstanding my heart). His awareness of Sojieum grew deeper while he was living as a stranger in the foreign country, and the gap that he felt between ideals and realities also grew wider. This situation continued after he returned to Shilla, and such conflicts between ideals and realities were configured several times in his poems.
    Not long after returning to Shilla, he moved from and to provincial posts and it seems that he shaped up his idea to live in retirement during that time. He came to admit that there were real problems insurmountable through his efforts alone. Then, natural space, which had been an object of yearning, was seen as a place to which he could rely on. His attitude oriented to being unworldly and living in retirement was deepened through several turnovers and was finally concluded in the form of disappearance.
    This study examined Choi Chi-won’s different attitudes toward life and how such attitudes were configured in his poetic world. This work is expecte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reconstructing his literary life and understanding the realities of Choi Chi-won’s poetic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