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戰後)를 사는 ‘오모니’: 재일한인 모성 표상의 계보학 (The Postwar Trajectory of ‘Omoni’: Genealogy of Representation of Ethnic Korean Mother in Japa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08
44P 미리보기
전후(戰後)를 사는 ‘오모니’: 재일한인 모성 표상의 계보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비평 / 21호 / 232 ~ 275페이지
    · 저자명 : 정호석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전후 일본 사회에서 ‘오모니’(オモニ)라는 표현이 전유되어 온 양상을 밝힘으로써재일한인 여성상이 갖는 역사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오모니’는 일본 식민지시기 재조일본인의 가정에 고용된 조선인 여성 가사사용인에 대한 호칭이었으나 전후, 한인 2세들 및 일본인들에 의해 다양한 맥락에서 언급, 재해석되는 가운데 재일 한인 여성에 대한 지배적인 표상으로 자리잡았다.
    전후 ‘오모니’가 대중적인 주목을 받은 첫 계기는 한인 2세들의 문제를 극적으로 표출한 ‘김희로사건’으로서, 김희로의 어머니는 지식인 및 시민의 담론적 실천 속에서 일본의 역사적 책임과 ‘민족문제’를 제기하는 ‘조선인’, 혹은 억압적 국가권력과 길항하는 ‘노동하는 민중’으로 자리매김되었다. 또한 일본인 작가들의 논픽션, 에세이 작품에서, ‘오모니’는1 세 여성들 및 그들의 모습을 재조명하는 한인 후속 세대, 그리고 동시대 일본인들이 함께 직조해내는 전후 사회에 대한 대안적인 상상을 촉발하는 동시대인, 혹은 전후의 국민 문화에 창조적인 다양성을 더함으로써 일본인 및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깨달음을 주는 ‘타자’로 해석되었다. 한편 ‘오모니’들의 문해활동은 고도경제성장 이면의 소수자들의 문제로 여겨지며 다년간의 시민 운동 속에서 지역사회의 역동적인 현실에 뿌리내려왔으며, 근년들어서는 주류 대중 문화 속에서 유통, 소비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한인 사회 내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담론적 실천을 자극하며 그 의미를 확장해 온‘오모니’에 대한 본 논문의 계보학적 고찰은 문화적 탈식민화 과정에서 모성이 가지는 해방적 잠재력및 모성 표상의 대중적 소비가 갖는 양의성과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omoni (ethnic Korean mothers), the most dominant representation of zainichi (ethnic Koreans in Japan) women, has been appropriated in postwar Japan. Omoni was once a term used in reference to Korean housemaids who were employed b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However, it also has its own trajectory in postwar Japanese society.
    As Kim Hiro [Kin Kiro] Incident came under an intensive media spotlight in 1968, Kim’s mother, depicted as Chosenjin Omoni (Korean Mother) or as Minshu (oppressed people), was understood with Japanese people’s self-transformation and enhanced historical awareness.
    Since the 1970s, a significant propagation of discourse was brought about by secondgeneration zainichies, who started to speak and write about their mothers. At the same time, Japanese writers also shed distinctive light on various aspects of omoni. A reportage by Yasuharu Honda on female divers from Jeju island, series of essay by Makoto Oda on his zainichi mother-in-law, and local civic movements to teach illiterate zainichi women in evening schools also have dynamically widened the spectrum of omoni, which cannot be limited to the typical stereotype of strong, devoted mothers testifying the past. Moreover, as the cultural location of discourse has diversified, more popular citations of omoni are now observed outside of the zainichi community. This phenomenon raises questions on the emancipatory potential that maternal images might carry in cultural pathways for decolonization, and on the transformations omoni undergoes in new contexts of commercial appropri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