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산 둘레길 탐방객의 전반적인 인식 기반 텍스트 마이닝 분석 (Text Mining Analysis based on Overall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Bukhansan Dulegil Trail)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5.03
19P 미리보기
북한산 둘레길 탐방객의 전반적인 인식 기반 텍스트 마이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29권 / 1호 / 11 ~ 29페이지
    · 저자명 : 강홍규, 김성호

    초록

    2010에서 2011년까지 약 2년 동안 총 71.5km로 조성된 북한산 둘레길은 2023년 기준 연간 169만 명이 방문하는 수도권의 대표 여가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최근에는 외국인 탐방객의 증가로 국제적 관광 명소로도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 및 세대의 변화와 함께 달라진 탐방 행태를 반영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북한산 둘레길 탐방객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11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네이버 블로그에서 ‘북한산 둘레길’ 키워드로 검색된 63,996건의 게시글 중 텍스트가 포함된 62,064건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는 특수문자 제거, 형태소분석, 불용어 삭제를 거쳤으며, TF, TF-IDF, N-gram, LDA 토픽 모델링, 감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탐방객은북한산 둘레길을 자연경관 감상, 역사·문화 탐방, 지역사회 연계 활동이 결합된 복합적 여가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감성 분석에서는 긍정적 경험이 부정적 경험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주로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에 대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부 탐방객은 경로 난이도와 정보 부족을 불만 요소로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탐방객의 자연스러운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탐방 코스 개발, 계절별 프로그램 운영, 탐방 인프라 개선, 지역사회 연계 강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설문조사나 인터뷰와 같은 전통적 연구 방법과의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탐방객 인식 변화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Bukhansan Dulle-gil, which was constructed with a total of 71.5 km for about two years from 2010 to 2011, has become a representative leisure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1.69 million visitors per year as of 2023. In addition, in recent years,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international tourist attrac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visitors. However, it is true that studies reflecting the changed exploration behavior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change of generations are very scarc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visitors to Bukhansan Dulle-gil in depth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this end, in this paper, 62,064 articles containing text were selected out of 63,996 posts searched for with the keyword ‘Bukhansan Dulle-gil’ on Naver Blog from July 2011 to June 2024. In the data preprocessing process, special characters were removed, morpheme analysis, and terminology deletion were performed, and TF, TF-IDF, N-gram, LDA topic modeling, and emo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sitors recognized Bukhansan Dulle-gil as a complex leisure space that combines natural scenery appreciation, history and cultural exploration, and community-linked activities. In addition, in the emotional analysis, positive experiences were overwhelmingly more than negative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with natural scenery and cultural heritage was mainly high. On the other hand, some visitors mentioned the difficulty of the route and lack of information as factors of dissatisfaction.
    This paper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by reflecting the natural opinions of visitors using large-scale text data. Based on thi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xploration courses, seasonal program operation, improvement of exploration infrastructure, and reinforcement of community connections were derived. In future studies, the necessity of analyzing the change in visitor perception in more depth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with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such as surveys and interviews was suggested, including various social media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