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典 속에 나타난 陶山書堂 園林과 樹種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Garden and Plants of Dosan-Seodang in Ancient Writing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6.03
22P 미리보기
古典 속에 나타난 陶山書堂 園林과 樹種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설계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설계 / 7권 / 1호 / 37 ~ 58페이지
    · 저자명 : 최종현, 최기수

    초록

    본 연구는 퇴계 이황이 조영한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원림과 수종 화초에 관한 연구이다. 이황이 저술한 퇴계전서와 그가 읽었던 중국 고전(논어 시경 서경 대학)을 통해서 도산서당 원림의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어떤 수종이 선택 되어 배식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원림 요소는 도산서당과 그 주변에 있는 자연 경물(景物)과 인공물들을 말한다. 또 이들이 성리학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퇴계의 시와 기문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현장답사를 통해서(도면 1 참조) 이에 대한 확인과정을 갖는다. 퇴계 이황은 1557년 도산의 남쪽에 터를 잡은 후에 도산서당을 지었는데, 이는 낙강(洛江)의 강물을 굽어보고, 남향으로 배치해서 세워졌다. 당(堂) 재(齋) 사(舍)를 각기 도산(陶山) 완락(玩樂) 농운(雲)이라고 명명했다. 도산서당을 면해서 북에서 남으로 정우(淨友) 몽천(蒙泉) 절우(節友) 천연(天淵) 곡구(谷口) 천운(天雲) 등의 원림요소가 조성되었다. 또한 연(蓮)을 비롯해서 매화(梅) 대나무(竹) 소나무(松) 국화(菊) 버드나무(柳) 등의 수목과 화초가 배식되었다. 원림의 외적 요소로는 고산(孤山), 일동(日洞), 월명담(月明潭), 한속담(寒粟潭), 경암(景巖), 미천장담(彌川長潭), 백운동(白雲洞), 단사벽(丹沙壁), 천사촌(川沙村) 등이 있으며, 특히 월란암 주변의 7대 3곡은 초은대(招隱臺), 월란대(月瀾臺), 고반대(考盤臺), 응사대(凝思臺), 랑영대(朗詠臺), 어풍대(御風臺), 능운대(凌雲臺) 등과 석담곡(石潭曲), 천사곡(川沙曲), 단사곡(丹砂曲) 등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도산서원의 배치 개념은 중용의 첫머리 구절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등의 경구와 상응하고 있다. 또 경물(景物)의 의미와 명칭을 정하는데 중국 고전의 시구(詩句)나 경전(經典)의 내용들이 차용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the landscape-garden and plants flowers of Dosan-Seodang built by Toegye. What is the compositional element of landscape-garden and which kind of trees was selected to be planted are the key themes of this article. The compositional element of landscape-garden of Dosan-Seodang encompasses the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 scenery of Dosan-Seodang and its surrounding area. How these themes are related with Neo-Confucianism is another subject, which requires some research through the poems and some writings of Toegye. And field works was made to ascertain some points in reference to the themes. Toegye, Yi Hwang located Dosan-Seodang at the south of Dosan in 1557 to put it in front of Nak river. He named Dang as Dosan, Jae as Wanrak, and Sa as Nongwoon. From the north to the south of Dosan-Seodang, landscape elements such as Jeongu, Mongcheon, Jeolu, Cheonyeon, Gokgu, Cheonun were placed to set up the landscape-garden. The trees and flowers of Japanese apricot, bamboo, pine tree, Chrysanthemum morifolium, willow as well as lotus were planted. The outer part of landscape-garden was composed of Gosan, Ildong, Wolmyeong-Dam, Hansok-Dam, Gyeong-Am, Micheonjang-Dam, Baekun-Dong, Dansa-Byeok, Cheonsa-Chon and the geographical elements of seven dae and three valleys near the Wolran-Am were named Wolran-Dae, Goban-Dae, Eungsa-Dae, Rangyeong-Dae, Eopung-Dae, Neungun-Dae, Choeun-Dae and Seokdam-Gok, Cheonsa-Gok, and Dansa-Gok respectively. The basic concept of building plan of Dosan-Seodang corresponds with the first sentence in Joong-Yuong,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 ; an accordance with this nature is called The Path of duty ; the regulation of this path is called Instruction. Poetry or lines in ancient Chinese writings were quoted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the name of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of scenery in the landscape-ga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