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서구인의 한양도성-북한산성 인식과 함의 (The Perception and Implications of Hanyangdoseong and Bukhansanseong Among Westerners in the Modern E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2
26P 미리보기
근대 서구인의 한양도성-북한산성 인식과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61권 / 109 ~ 134페이지
    · 저자명 : 황선익

    초록

    조선의 수도 한성에 외국인이 공식적으로 입성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 들어서였다. 이들은 모두 한양도성을 통과하여 한성에 이르렀고, 이 과정에서 북한산과 한양도성을 직접 보고 경험했다. 대체로 서구인의 한양도성 경험과 기록은 조선의 개항/수교와 맞물려 이뤄졌다. 근대변혁기 서울을 왕래하거나, 주재한 모든 사람은 한양도성 입성을 경험함으로써 ‘도시의 경계’, ’도성의 관문’이라는 속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왕궁과 도성으로 구성된 조선-한국의 상징적 경계 공간이자, 울타리라는 이중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서울에서 생활하거나 여행한 많은 서구인은 서울을 둘러싼 내사산(나아가 외사산과 서울 입경 도중의 주요 산)을 조망했다. 특히 북한산은 산세를 이용하는 한양도성의 가장 상징적 배후로 여겨졌으며, 산과 성곽으로 이어진 한양도성은 ‘산세를 활용한 요새’이자. ‘성곽으로 이어지는 산책로, 자연공원’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도성체계가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성곽의 근대의 기능은 다른 방식으로 발산되고 있었다. 즉 자연과 어우러진 성벽길이 이제는 산길로서 역할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근대격변기 도성의 역할 변화는 지금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많은 서구인들이 보편적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성곽과 한양도성을 비교하고, 서울의 자연환경과 한양도성의 입지적 특징, 한양도성-탕춘대성-북한산성으로 이어지는 방어체계를 이해했다.
    근대 이후 수도 한양을 방어하던 한양도성의 역할은 사라졌다. 생활인으로서 많은 서구인, 일본인은 북한산 하이킹을 즐기고, 이로써 더 이상 성곽의 기능은 사라졌지만, ‘서울 입성’이라는 심리적 인식과 주요 대문으로 구획되는 물리적 공간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전통적 방어체계의 산물’로서의 역사성과 ‘서울의 경계이자 상징공간’이라는 속성은 변치않고 이어지고 있다.

    영어초록

    The entry of foreigners into the capital of Joseon, Hanyang(Seoul), officially began in the 1880s. They all passed through the Hanyangdoseong(Hanyang City Wall) and experienced the process of reaching Hanyang, witnessing Bukhansan and Hanyangdoseong directly. Generally, the experiences and records of Westerners in Hanyangdoseong were intertwined with the opening and diplomatic relations of Joseon. Anyone who lived or traveled in modernized Seoul during the period of reforms came to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the "city's boundaries" and the "gate of the c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entering Hanyangdoseong. It was recognized as a symbolic boundary space of Joseon-Korea, composed of the royal palace and city walls, understanding its dual nature as both a symbolic boundary space and a fence.
    Many Westerners who lived or traveled in Seoul observed the Naesasan (Four mountains surrounding Seoul). In particular, Bukhansan Mountain was considered the most symbolic backdrop for Hanyangdoseong's use of mountainous terrain, forming a "fortress utilizing mountainous terrain" that was also utilized as a "promenade route connecting the fortress and a natural park." The modern function of the city wall, which was no longer operational, was being diverted in different ways. In other words, the city wall path, harmonizing with nature, now functioned as a mountain path. The role change of the modernized city wall during the period of change offers many insights for us today. Many Westerners compared the city walls and Hanyangdoseong in East Asia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Seoul,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Hanyangdoseong, and the defense system connecting Hanyangdoseong-Tangchundaeseong-Bukhansanseong.
    After the modern era, the role of Hanyangdoseong, which defended the capital Hanyang, disappeared. Many Westerners and Japanese people, as residents, enjoyed hiking in Bukhansan, and thus, the function of the city wall disappeared. However, the psychological perception of "entering Seoul" and the physical space segmented by major gates still continu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product of the traditional defense system and the attribute of being a "boundary and symbolic space of Seoul" remain unchanged and persis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