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山朝 왕실의 奴婢 奪占과 反正의 명분 (The Extortion of Nobi(奴婢) by the Royal Family in King Yeonsan[燕山君] Period and the Causes of Coup of Jungjong[中宗反正])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9
36P 미리보기
燕山朝 왕실의 奴婢 奪占과 反正의 명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10호 / 69 ~ 104페이지
    · 저자명 : 최원하

    초록

    이 글은 연산조 왕실의 奴婢 奪占 행태가 양반지배층의 離叛을 촉진하였고, 그것이 반정의 원인 가운데 하나였음을 논증함으로써, 君臣權力關係의 추이와 노비 문제의 양상을 연관지어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성종조 이래 왕실의 재정 소요가 확대되는 추세 속에서 왕실은 內需司 奴婢에 대한 完護를 통해 身貢 수입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였고, 이에 헐역을 부담하는 내수사 노비에 대한 公私賤의 투속이 잇따랐다. 宣頭案에 付籍된 노비에 대해서 쟁송을 불허하는 원칙이 관철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公私賤의 투속을 容隱하는 내수사의 행태는 사실상 왕실에서 公私賤을 탈점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추세는 연산군 시기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었다. 더구나 양반관료들에 대한 君主權의 우위를 강조하고 공공연하게 私情을 앞세우는 연산군의 태도는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었다. 무오사화를 계기로 군주권의 위력을 실감한 연산군은 公賤은 물론 양반지배층이 소유한 私賤까지도 탈점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주인을 배반하고 왕실에 투속하는 노비들이 잇따르고 있었다. 노비를 탈점함은 물론 기왕의 主奴關係를 단절시키려는 연산군의 행태에 대한 양반지배층의 원망과 불만은 점차 커지고 있었다. 그러나 갑자사화를 거치면서 역대 조정의 공신과 재상들이 잇따라 숙청되고 臣權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연산군의 행태에 대한 비판은 봉쇄되어 있었다.
    양반지배층의 불만은 반정으로 귀결되었고, 그에 따라 노비 문제의 추이 또한 급반전되었다. 반정 주체세력은 노비를 탈점하여 주인을 배반하게 하였다는 것을 연산군의 罪狀 가운데 하나로 내세우고 있었고, 자신들이 내세운 반정의 명분을 실천하고자 연산조에 왕실이 탈점한 노비들을 本主에게 刷還하고 탈점 관련자들을 엄벌하였다. 또한 반정 이후 양반관료들은 제아무리 임금에게 충성하였어도 주인을 배반한 노비는 功臣이 될 수 없다거나, 주인이 노비를 죽인 경우에 임금의 명으로도 노비들은 주인을 고발할 수 없다는 원칙을 관철하고 있었다. 나아가 신료들은 왕실의 私藏 확대를 힘써 제한하려 함으로써 연산조의 弊風과 단절할 것을 중종에게 요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at extortion of private nobi[私賤] by the royal family in King Yeonsan[燕山君] period invoked resistance of Yangban(兩班) class, which led to the dethronement of King Yeonsan[中宗反正], and thereby aims to understand how a power relationship between a king and his servant changed over time with nobi issues. Since King Seongjong[成宗] period, the royal family, faced with an expansion of financial spending, attempted to secure Singong(身貢) income from Naesusanobi(內需司奴婢) by treating them favorably. This resulted in transfer of public/private nobi[公私賤] to Naesusa(內需司) in order to reduce their tax burden. For Naesusa to approve the transfer meant an extortion of public/private nobi,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original owners to file a return lawsuit once their nobis was recorded on Seonduan(宣頭案).
    This tendency worsened to King Yeonsan period. It was because King Yeonsan asserted his dominance over the power of Yangban bureaucrats and pursued private interests of his royal family. Throughout Muoh Purge[戊午史禍], King Yeonsan increasingly strengthened his power, suppressed critics from Yangban bureaucrats, and extorted not only public nobi but also private ones, some of whom betrayed their original owners and voluntarily transferred to Naesusa. Discontent of Yangban class heightened because King Yeonsan not only extorted the public/private nobi but also cut off relationship between the nobis and their original owners. However, throughout Gapja Purge[甲子士禍], many meritorious servants[功臣]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宰相] lost their positions, which led to the King’s sealing off criticism for himself, who pursued the private interests of his royal family.
    The discontent of Yangban class accumulated over time resulted in the dethronement of King Yeonsan, which led to the drastic reform of nobi issue deteriorated since his period. Yangban bureaucrats, who led dethronement of King Yeonsan, blamed him for the extortion of nobis and their betrayal of their original owners, which became one of the justifications of Coup of Jungjong[中宗反正]. In order for the Yangban bureaucrats to justify the coup, they returned the nobis the King had taken from the original owners and punished the accomplice of the extortion. Also, they sticked to a rule that nobis should not betray their owners at all costs, despite of King Jungjong’s opposition. For instance, a nobi who had betrayed his owner could not be a WonjongGongsin(原從功臣). Also, nobis could not accuse their owners even if one of nobis were killed by the owners. Moreover, they forced Jungjong to correct the problem of the former King by restricting private assets of the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