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한문학의 성격과 辛亥唫社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the Shinhaeum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6
23P 미리보기
근대한문학의 성격과 辛亥唫社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2권 / 107 ~ 129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본고는 매우 복잡다단했던 근대 시기 한문학의 성격 이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 준비하였다. 일반적으로 애국계몽기로 불리는 1910년 이전까지와는 달리 식민지시기 한문학은 퇴출 대상 혹은 퇴영적 구태의연한 그 무엇으로 지목되어 보다 적극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지지 못해 왔다. 본고에서는 근대 언론매체를 이용한 漢詩壇, 즉 辛亥唫社의 편집을 담당했던 安往居(본명 安宅重)의 활동과 漢詩의 존재양상에 접근하여 이 시기 한문학의 성격을 엿보고자 하였다.
    신해음사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근대의 도래와 식민시기의 거친 변화 속에서 전국적으로 산재한 한문식자층의 한시 교양을 근대 매체로 수용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식민이라는 현실적 제약 아래 시인의 감정으로 표출하는 한시 고유의 ‘詩言志’ 기능, 특히 사회 현실에 대한 토로는 스스로 제약하고 말았다. 이 점에서 편집자 안왕거가 ‘시학부흥’을 염두에 두었던 점은 당시 일제의 정책에 부수한 보수적 행보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법관양성소, 한성사범학교, 외국어학교의 교관을 지냈던 인물로 청년학생층을 염두에 두고 시대변화에 반응하여 한시학, 즉 ‘시학’의 새로운 변용을 모색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한문이라는 표기수단과 국권을 상실한 상황에서의 한시는 과거로의 회고적 존재였으나, 근대적 매체를 통한 구지식층의 ‘가상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역할도 하였다. 이와 같은 한시 교양은 이후 공고화되는 식민 상황에서 현실에 대한 발언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방식으로 재발견되고 있는데, 『신생활』과『신민』이 보여준 한시란의 활용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 한시로 살펴본 근대한문학의 성격은 이제 식민이라는 제한된 여건을 충분히 감안한 보다 세심하게 살펴서 자리 잡아야 할 과제로 제기해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repared to examine a method to understand a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literature which met a very complicated modern society.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before 1910, the Chinese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was pointed out as an object to be thrown out and something same old or retrospective that it could not be studied actively either in concrete. We intended to see an existence aspect and a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literature in that period through a Chinese poetry circle that used a modern media, that was the Shinhaeumsa and activity of An Wang-Geo(Real name is An Taek-Jung) who edited the magazine.
    Basically, the Shinhaeumsa tried to introduce Chinese poems created by highbrows of the Chinese letter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by a modern media in harsh changes of a modern era's coming and Japanese colony. However, at that time, 'poetic language(Shieonji)', the unique function of the Chinese poem with which poets could express the social reality with their emotion was restricted by itself due to a realistic limitation under Japanese colony. With this viewpoint, it looks that the editor, An Wang-Geo took a conservative step in compliance with Japan's policy by planing the 'Renaissance of poetics'. But we think that he, as a person who had been a teacher in a law school, Hansung educational college and a foreign language school tried to find a way to renew the Chinese poems, that is, the 'poetics'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imes considering young students.
    In a situation of los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a Chinese letters as a means of writing at that time, the Chinese poem was something to retrospect the past but it also played a role to build a 'virtual community' of old intellectuals through a modern media. However, the culture of the Chinese poems in that time is later being rediscovered as a way of positive or negative utterance on the reality under the colony situation which was getting more solid, and utilization of columns of the Chinese poems in the 「A New Life」 and the 「New Citizen」 would be a representative example. We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se literature by studying Chinese poems and, now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literature should place as a task that we shall need to investigate more in sophisticated fully considering the limited condition of a col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