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양 용화사 소장 불서의 종류와 가치 (The Variety and the Value of the Buddhist Books in Damyang Yonghwasa Templ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9
16P 미리보기
담양 용화사 소장 불서의 종류와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75호 / 129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종수

    초록

    담양 용화사 묵담유물관에는 묵담성우가 남긴 유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여기에는 불교전적이 다수 소장되어 있어서 몇 차례 조사된 바 있다. 하지만 그 전체의 목록을 제시하고 또 그 가치에 대해 논한 적은 없었다. 필자는 2017년 여름에 그 전체를 조사하여 목록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묵담유물관 소장 불서 중에서 근대 이전 불서의 종류와 가치에 대해 서술하였다.
    목판본은 총 73종 303책이 소장되었는데, 그 중 2종 2책은 중국 판본이므로 이를 제외하면 71종 301책이 된다. 시대별로 보면 고려시대 4종 6책, 조선전기 9종 16책, 조선후기 50종 269책, 대한제국 2종 3책, 미상 6종 7책의 판본이 소장되어 있다.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면 고려대장경 4종 6책, 계율 4종 8책, 강원교재 26종 234책, 선학 10종 13책, 정토 5종 6책, 의식 10종 12책, 불교사 10종 20책, 기타 5종 5책으로 나눌 수 있다.
    필사본은 총 166책이 소장되어 있다. 필사 시기는 모두 조선후기로 보이지만 그 연대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시기별로는 별도 분류하지 않았다. 주제별로는 경론 21책, 계율 4책, 강학사기 111책, 선학 8책, 의식 13책, 사적류 3책, 기타 6책으로 나눌 수 있다.
    묵담유물관 소장 불서 중에는 『달마대사관심론』을 비롯하여 계율, 의식, 강학사기 불서의 연구 가치가 높다. 특히 묵담대사는 해동율맥 제9대 율사이고 불복장 의식의 전수자이기 때문에 계율과 의식 관련 불서에서 특징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111책에 이르는 필사본 강학사기에는 연담유일과 인악의첨의 사기, 그리고 백파긍선의 사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연구 가치가 매우 높은 사기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ukdam Museum in Yonghwasa Temple in Damyang houses various artifacts left by Mukdam Sungwoo. The collection in the museum contains a considerable amount of Buddhist books and they have been examined several times. But the entire scale of the collection and its value has not been elucidated thoroughly until now. In the summer of 2017, the writer of this study has conducted an overall research on the collection and catalogued the examined book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variety and the value of the pre-modern Buddhist books housed by the Mukdam Museum.
    In regard of the block books, there are 303 volumes of 73 books including 2 volumes of 2 books that are printed with Chinese woodblocks. So the total is 301 volumes of 71 books except the Chinese block books. Sorted by periodical orders, the collection has 6 volumes of 4 books published during the Goryeo period along with 16 volumes of 9 books publish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269 volumes of 50 books publish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3 volumes of 2 book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7 volumes of 6 books from unknown periods. Sorted by subjects, the collection has 4 volumes of 6 books of the Tripitaka Koreana along with 8 volumes of 4 books of Buddhist precepts, 234 volumes of 26 books of teaching materials taught for Buddhist trainees, 13 volumes of 10 books of Seon Buddhism (K. seonhak 禪學), 6 volumes of 5 books of Jeongto(淨土) Buddhism, 12 volumes of 10 books of Buddhist history, and 5 volumes of 5 books in other subjects.
    There are 166 volumes of transcribed books. Even though they all seem to be transcrib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age of some volumes. Accordingly, the transcribed volumes have not been classified by period. Sorted by subjects, there are 21 volumes of Buddhist scriptures along with 4 volumes of Buddhist precepts, 111 volumes of individual commentaries on Buddhist scriptures (K. sagi 私記), 8 volumes of Seon Buddhism, 13 volumes of Buddhist rites, 3 volumes of Buddhist history, and 6 volumes in other subjects.
    Among the Buddhist books housed in the Mukdam Museum, the writings of Buddhist precepts and rites, and individual commentaries on Buddhist scriptures such as Dalmadaesagwansimron (Ch. 達磨大師觀心論) have a great value of research. In regard of the fact that Mukdam was the 9th precept master (K. yulsa 律師) of the Korean Sect of Buddhist Commandments and was an expert of the ritual practice of enshrining sacred materials in Buddhist statues, it is possible to surmise the special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precepts and ritual books. And some of the individual commentaries on Buddhist scriptures, included in the 111 volumes of transcribed books, were written by Yeondam Yuil, Inak Uicheom, and Baekpa Geungseon. They also have a high academic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