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의의 (Meaning of Seung-man Lee’s Gomokga in the Literature Hist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10
24P 미리보기
이승만 작 &lt;고목가&gt;의 문학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수록지 정보 : 리터러시 연구 / 10권 / 5호 / 457 ~ 480페이지
    · 저자명 : 이복규

    초록

    이승만 작 <고목가>만을 대상으로 처음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얻은 결과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승만의 <고목가>는 한시의 기승전결 구조로 분석이 가능하다. 이승만이 한시를 지은 인물이기에 나타난 결과라고 여겨진다.
    둘째, 이승만의 <고목가>(1898)가 신체시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수율이 아니라 음보율로 접근해야 한다. 그렇게 보았을 때, <고목가>는 명백히 최초의 신체시다. 연(stanza) 안에서는 음보율의 변형을, 연과 연끼리는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어, 전통시와 자유시의 과도적 형태인 신체시가 분명하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1908)보다 10년 앞서 나온 작품이다. 이 견해가 맞다면, 한국문학사에 편입해야 한다.
    셋째, 이 작품의 원천 작품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양연(Lee, Yang-yeon 1771-1853)의 <탁목(Takmok)>이란 한시가 그것이다. 5언절구 총 20자 한시로, 4연 총 172자 한글 시로 재창작하였다. 한문 지식 위에 한글, 영어, 기독교 경험(찬송가), 자주독립과 민중계몽 의식이 어우러져 빚어진 결정체인 셈이다.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몸담고 있는 사회현실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까지 모색하되,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한글을 매체로 삼아, 감응력 있는 시가로 표현하였다.

    영어초록

    Gomokga written by Seung-man Lee was reviewed earnestly at the first time. The results and the sugg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omokga (1898), a Korean work written by Seung-man Lee, was the first new-style poem. The past opinions that it was not a new style poem were based on the empathies of Syllabic System which was the approach on Chinese poetry or Japanese poetry with a fixed form. The approach to this poem is right with foot meter. Considering this, it is evident Gomokga is the first new-style poem. It sustained the modification of foot meter within the stanza and fixed form between stanzas, which demonstrates a type of new-style poem, transient form between traditional and liberal poetries. It came out 10 years before the publication, ‘from the sun to the boy’ written by Nam Sun Choi (1908). If this opinion is right, it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cond, the original source of this poem was found, which was Takmok, a Chinese poem by Yang-yeon Lee (1771-1853). It was a Chinese poem with 20 letters and 5 verses and was recreated as a Korean poem with 172 letters and 4 stanzas. It seems to be the crystalized outcome of the harmonies with Korean, English, Christian experiences (hymn), ideas of independence and enlightening people based on the knowledge of Chinese letters. It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real society and sought the solutions based on his knowledge, but he described it as the poem with sensitivity using Hangul as a media whoever could read.
    Gomokga was ended with nouns up to the third stanza, which was very unusual in the Korean poetry. It was common in Waka and Haiku, Japan, and identified in the present proses in Jap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whether it was influenced by Japan or other rea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터러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