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사지론』에서 사념주의 전개 (The Development of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in Yogācārabhūm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9
28P 미리보기
『유가사지론』에서 사념주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3호 / 325 ~ 352페이지
    · 저자명 : 이윤옥

    초록

    『유가론』에서 사념주의 전개를 살펴보면, 『반야경』, 『십지경』 등의 큰 영향을 받아 성립된 「보살지」는 「성문지」, 「섭사분」 보다 여명기의 『유가론』의 문헌에서 사상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보살지」의 <진실의품>을 종합해보면, 보살은 무분별지를 바탕으로 불가언설의 자성을 소연(ālambana)으로 하는 승의적 사념주를 수습한다. 『유가론』에서 단지 언어로 갖가지를 규정하는 세속적 사념주로 수습하지만, 보살의 평등지를 기본 가설로서 존재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념주의 소연이 가설로서 규정된 것은 세간의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보이기 위한 것 뿐 언어적 보편성 때문이고 불가언설의 자성을 깨닫기 위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한편 『해심밀경』은 가행도에서 진여를 作意하고 마음의 현상적 相(nimitta)의 현행을 평정(upekṣā)시키고 견도에 들어가서 7종의 진여를 관찰하는 지혜가 생긴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심밀경』의 현상적 상의 소거라는 수행방식은, 「보살지」의 현상적 상의 소거와 같은 형태로서 유가행파에서 空의 수습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해심밀경』의 21종의 현상적 상에서 사념주를 제외한 17종의 현상적 상은, 「섭결택분」의 사념주 수습에서 17종의 상박(想縛)을 소거하는 현상적 상과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가론』 「섭사분」에서는 아함경과 관련하여 독자적인 해석을 보이고 있다. 「섭사분」이 『잡아함경』에 대한 유가행파의 주석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이미 학자들에 의해서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섭사분」에서 사념주는 수행자의 非如理作意, 如理作意라는 새로운 시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섭사분」은 『잡아함경』의 사념처를 한층 발전시켜서 독자적인 사념주를 성립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f the development of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in Yogācārabhūmi is observed, it can be seen that Bodhisttvabhūmi, which was established being greatly affected by Prajñapāramitā sūtra and Daśabhūmika sūtra, attempts ideological change in Yogācārabhūmi literature of the dawning period rather than in ŚrāvakabhūmiㆍVastusaṃgrahaṇī. In an integration of the Tattvārthapaṭala of Bodhisttvabhūmi, the Bodhisattva bhāvanā paramārtha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which ālambana the saabhāva of anabhilāpya based on nirvikalpa jñāna.
    The Yogācārabhūmi bhāvanā saṃvṛti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which makes various regulations with only vyavahāra but samatā jñāna of Bodhisattva exists as a prajñapti. This is because, ālambana of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was prescribed as a prajñapti to show guidance to the people of laukika and it is because of vyavahāra universality, as an upāya to realize the saabhāva of anabhilāpya.
    On one hand,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delineates that a pravicaya buddhi forms that manaskāra tathatā in prayoga mārga, upekṣā the adhyācarati of nimitta of the citta and observes the 7 types of tathatā in the darśana-mārga. This performance method of vibhāvanā of nimitta of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has the same form as the vibhāvanā of nimitta of the Bodhisttvabhūmi and thus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bhāvanā of śūnyatā in Yogācāra.
    In the nimitta of the 21 types of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17 types of nimitta excluding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mostly have the same contents as nimitta which vibhāvanā the 17 types of samjñā-bandhana in the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bhāvanā of Viniścayasaṃgrahaṇī.
    Also, the Vastusaṃgrahaṇī of Yogācārabhūmi displays independent interpretation with regards to the āgama. It has already been presented through the theses of scholars that Vastusaṃgrahaṇī has annotative elements of Yogācāra regarding the Saṃyuktāgama sūtra.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in Vastusaṃgrahaṇī is interprested from the new perspective of ayoniśomanaskāraㆍyoniśomanaskāra of yogin. This shows that the Vastusaṃgrahaṇī develops the cattāro satipatthānā of Saṃyuktāgama-sūtra to bring an independent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into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