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oryeo Daejangg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12
40P 미리보기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0권 / 65 ~ 104페이지
    · 저자명 : 정병삼

    초록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송의 開寶版 대장경이 『開元錄』을 바탕으로 983년에 간행된 이래 3차에 걸친 증보되었다. 개보판 대장경은 곧 고려에 전래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불교계의 의지는 마침 일어났던 외침을 계기로 1011년에 초조대장경 조판 사업을 시작하였다. 1029년에 1차 조판이 완성된 고려의 初雕本 개판은 처음에는 개보판을 그대로 새겨 간행하였으나, 2차, 3차에 걸친 보완을 거쳐 보다 정확한 契丹本을 적극 수용하고 고려 傳本들과 상호 校勘한 충실한 대장경을 1087년에 600여질로 완성하였다. 초조본은 『개원록』과 그 이후의 목록에 충실하게 간행하였다.
    義天은 經論의 바른 뜻을 펴기 위해서는 章疏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20여 년간 국내외에 걸쳐 수집한 장소를 정리하여 1090년에 장소 목록인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찬하였다. 의천은 경·율·론으로 구성된 대장경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그동안 대장경이 거의 외면하였던 고금의 章疏를 모아 一藏을 만들어 대장경의 이해를 보충하려는 뜻에서 수집한 장소를 교감하고 독자의 교학관에 따라『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독자적인 회통적 사상 체계에 따라 『화엄경』을 필두로 1,040종의 경·율·론 장소 목록을 제시하고 4,740권에 이르는 방대한 교장을 간행하였다. 신라와 고려 및 거란의 찬술이 대거 포함된 교장은 동아시아 불교학의 체계적인 정리로서, 송과 일본에도 전해져 교학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였다.
    몽골의 침공으로 초조본이 불타자 大藏都監과 分司大藏都監을 설치하고 국가적 운영 체제 아래 체계적이고 방대한 재조대장경을 조판해냈다. 특히 재조대장경은 『校正別錄』에서 보여주는 정확한 교감 기준에 따라 고려본과 개보판·거란본을 활용하여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이들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正本으로 삼는 보편성을 지향한 정밀한 간행이었다. 재조본의 특징은 ‘外藏’에 있다. ‘정장’과 동일한 기관에서 동일한 시기에 개판된 20여 종의 전적은 화엄과 선적 및 천태 주석서들로서 고려 후기 화엄종의 사상적 의도와 수선사와 백련사 계통의 다양한 사상을 반영한다. 이들의 다양한 경판 판식은 국내 傳本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서 고려 불교의 문화적 역량이 반영된 것이었다. ‘외장’은 고려의 문화적 전통에 바탕을 둔 출판인쇄술의 능력과 고려불교의 사상적 경향이 결합하여 이룬 고려불교의 역량 표현이었다.

    영어초록

    Goryeo published two editions of Daejanggyeong and one Gyojang. The publishing of Daejanggyeong shows the trend of Buddhism and cultural ability of Goryeo. In Northern Sung,Chinese produced the first Tripitaka Kaibao Dazangjing in 983, afterwards enlarging it by three times. The Goryeo dynasty wanted to show cultural power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es caused by the invasion of the Khitan,so it started engraving Daejanggyeong in 1011. The First Daejanggyeong was finished in 1029, with national support.
    At first it was based on the Kaibao edition, but a second and third enlargement were corrected using the Kitan edition and Goryeo traditional copies. In 1087, over 600 boxes of the First Daejanggyeong were completed. The First Daejanggyeong was published by Chinese catalogs which made in succession. Euicheon, who entered the monkhood as a prince, thought that commentar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ipitaka completely. In 1090, Euicheon edited the Sinpyeon Jejong Gyojangchongrok , the catalogue of commentaries on the tripitaka. He revised, edited, and published Gyojang which he collected from Goryeo, Sung, Kitan and Japan. In this catalogue, Euicheon showed the unique organization of the tripitaka. He listed Avatamsaka first, and listed 4740 rolls of 1010 books, and using this list he published commentaries.
    Many commentaries of Silla and Kitan were enlisted in that list. These publications brought to Sung and Japan and helped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Buddhism.
    The First Goryeo Daejanggyeong was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Goryeo established Daejangdogam to produce a new Daejanggyeong. The new Second Goryeo Daejanggyeong revised and edited the First Goryeo,Kaibao and Kitan editions. As a result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guaranteed high accuracy. The standard edition was recorded in Sinjodaejang Gyojeongbyeollok .
    Moreover,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subjoined more than twenty books. They include the commentaries of Hwaeom, Zen and Cheontae schools of China and Korea. this work shows the trend of late Goryeo Buddhist thought. These subjoinders succeeded Goryeo tradition, so the publishing form of the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 Daejanggyeong.
    These subjoinders were joined by combining the Goryeo Buddhist thought and printing 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