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변호사 업무광고의 제한법리 (Research on the Restraints of a Lawyer’s Advertis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2
20P 미리보기
변호사 업무광고의 제한법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48호 / 849 ~ 868페이지
    · 저자명 : 최윤희

    초록

    현행 변호사법은 변호사의 업무광고를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는 변호사 업무광고전면금지에서 허용으로 방향이 바뀐 전 세계적인 추세에도 부합하는 입장이다. 업무광고를 허용한다고 하더라도 광고의 내용과 방법 등에서 변호사의 공공성이나 공정한 수임질서를 해치거나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광고들은 법상 제한된다. 이외에도 변호사법은 보다구체적인 광고제한 기준 등은 대한변호사협회에 위임하고 있는데, 이러한 법 규정에 근거하여대한변호사협회는 「변호사업무 광고에 관한 규정」, 「인터넷 등을 이용한 변호사업무광고기준」등을 제정⋅시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변호사징계 사건들 중에서 업무광고관련 사건 수가 급증하고 있고, 그중에서도 인터넷 등을 이용한 광고가 90퍼센트에 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변호사 업무광고 제한 법리와 현황 등을 살펴보고, 전문변호사 등록제도, 인터넷광고 윤리문제, 변호사회의 역할 확대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I hav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er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on the lawyers’ advertisement. Historically speaking, Korea has changed its position on the lawyers’ advertisement from ‘total ban’ to ‘restriction to a certain extent’. According to the Article 23 of the “Attorney-At-Law Act”, each attorney-at-law may advertise his or her educational credentials, career, main services offered, performance record and other matters necessary for publicizing his or her services through such media as newspapers, magazines, broadcasts and computer communications. However, a lawyer shall be prohibited from running any advertisement falling under any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of the article. In sum, the “Attorney-At-Law Act”, in principle, allows a lawyers’ advertisement, but has restraints on advertisements leading the legal service consumers to wrongful information or shifting too much amount of advertisement cost to the consumers. This reflects the status of a lawyer in our society, whose profession inherently has a public character. In the same line, the Article 2 of the “Attorney-At-Law Act” states that each attorney-at-law shall perform his or her duties independently and freely as a legal professional of public nature. According to the above articles of the “Attorney-At-Law Act”, the Korean Bar Association has enacted the ‘Rules on Advertisement of Attorney-at-Law Practice’, and ‘Standards for Advertisement of Attorney-at-Law Practice using Internet and the like’. I have noticed two special features from the disciplinary cases of the lawyers’ advertisement publicized by the the Korean Bar Association recently. One is the rapid increase of the number of disciplinary advertisement cases during the four years from 2015 to the end of 2018. The other is almost ninety percent of the cases were related to the advertisements through internet and the like. I think the principles of the law and regulations to allow but restrict lawyers’ advertisement to a certain degree is inevitable, given the public status of a lawyer and asymmetrical information between the lawyers and consumers. In an effort to seek proper development of future restrictions of the lawyers’ advertisement, I have reviewed three points. The first one is to seek more proper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registration of a lawyer’s specialty area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e second is to further develop more concrete legal ethics of lawyers’ advertisement in cyberspace. And the last but not the least, is to further develop and adjust proper roles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and related District Bar Associations with regards to supplying proper information for the legal service consumers without any special advertising methods, and also keeping proper and equitable restraints level on the member lawyers’ advertisemen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