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사천왕사 건축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06
32P 미리보기
신라 사천왕사 건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2권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숙경

    초록

    사천왕사 중심사역은 금당 평면 영조척 295㎜를 기준으로 그 70배 길이를 단위로 하여 주요 건물의 위치가 정해진 것이다. 금당과 익랑을 중심으로 前庭과 後庭 공간이 나뉘며 각 공간은 내부에 위치한 건물의 비중에 따라 규모가 조절되었다. 금당을 중심으로 일정한 길이를 단위로 한 공간계획은 황룡사, 사천왕사, 감은사 등 신라 평지가람에 있어 보편적인 계획수법이었다. 사천왕사 금당은 한 차례 중건된 것이나, 사역의 전반적인 구성이 중건 금당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창건시기에 중건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당은 본전과 차양칸, 두 개 구조가 결합된 형식으로 본전은 단층의 전당형 구조이며 두 기단차를 이용하여 중층 지붕을 갖춘 외관이 만들어진 것이다.
    목탑은 신라 3칸 方塔의 대표적 평면으로 금당보다 긴 300㎜ 내외의 영조척이 적용되었으며 사천주 초석이 외진주 초석보다 크기 때문에 기둥 규격에 차등이 있었다. 경주 남산 탑곡 마애탑은 균일한 체감을 보이는 각층구조방식의 신라 목탑을 표현한 것이다. 사천왕사 목탑 최상층 지붕위에 얹는 노반받침석을 사천주 상부의 귀틀로 지지한다고 본다면, 사천주의 주칸크기는 최상층에서 1층보다 60㎝정도 좁아져야 하므로 사천왕사 목탑은 균일한 체감을 가진 각층구조방식으로 지어졌다고 생각된다.
    단석지는 문두루비법의 설행장소로 추정되고 있는데 평면에서 목탑지와 같이 300㎜의 영조척이 적용되었다. 유구를 살펴보면, 단석건물은 정방형 평면의 외곽에만 조밀하게 기둥을 세웠고 圓孔이 있는 초석은 長柱를 세우기 위한 것이며 내부 소초석은 高床에 오르기 위한 계단이나 사다리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어 고상건축의 형태로 판단된다. 신라의 고상건축을 표현한 가형토기나 중국 회화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고대 木臺 건축 등도 사천왕사 단석지에 대한 건축적 가능성 안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fundamental architectural research study on the layout of Sacheonwangsa Temple and basic stage of architectural evidence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Geumdang (main building of temple), Moktop (wooden pagoda), and Danseok (assumed altar). Summerizing the research contents, the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patial dimensions of the front and back courtyards, which are centered on the Geumdang and the Iklang (wing corridor), were compared and reviewed based on the architectural plan of the Hwaerang (corridor). The size of the space is determined by the proportion of buildings inside the space, and the size of the Hwaerang is also adjusted accordingly. Therefore, the standard of Sacheonwangsa Temple's layout should be based on the Geumdang. Based on the Ikrang plan, the width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temple is closely related to ensuring the entrance space and the placement of the two pagodas facing each other. The size of the foundation stone (초석) of Sacheonwangsa Temple is based on the size of the Iklang, which is smaller than the Hwaerang.
    Secondly, the Chayang-kan (sloping eave bracket system) of the Geumdang was installed at the latest stage of the construction sequence. However, the Joomang (grid of columns) makes the Dori-kan evenly spaced, requiring a structural system that reinforces the Cha-yangkan, and this can be seen as an early structural form among the Geumdangs of the Silla period. Since the Geumdang has a Chayang-kan structure and a round seat size of the main hall-foundation stone is same, it is believed that the main building is a single-story architecture, including the roof of the Chayang-kan, which makes up the two-story of the Geumdang‘s exterior.
    Thirdly, Moktop preserves the standard plane of the Silla-style three-kans pagoda, making it a very important cultural property. The Ma-ae Pagoda in Namsan exhibits a evenly decreased shape, and is understood as a stacked pagoda structure with individual floors, rather than a continuous structure. Taking into account the size differences between the foundation stones of the 4 central-columns (사천주) and outer-columns (외주), as well a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ing seat of Noban and the methods us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racket, it is thought that central-columns were connected by a short column, closing the distance between columns, from 2.15 meters at the first floor, to about 1.5 meters at the top floor.
    Lastly, Danseokji is believed to be a building site where a religious ritual called the Munduru Bibeop was performed. Specifically, it is judged to be a first-floor plan of a high-floor (고상) building. The small stones (소초석) inside were installed to support stairs or ladders leading up to the high-floor building. Buildings in square floor plans without columns on the inside and located in symbolic positions include the Danseokji Stone Platform, the Hwangboksa Temple Pagoda Site (assumed), and the Building Site No.12 in Hwangnam-dong. The elaborate stone carving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circular hole are closely related to the majestic level seen in the foundation stones of the Sacheonwangsa Temple, and are believed to have been measures taken to erect a tall pillar. Architecture such as high wooden floor can be referenced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al paint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what function these high-floor buildings served,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the Danse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