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常德《西使記》 硏究 (A study on Changde’s Xishi-J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8
28P 미리보기
常德《西使記》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연구 / 8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장미경

    초록

    본고는 13세기 중국과 西域을 잇는 동서교통로를 실제 여행하며 남긴 여행기록문인 ‘常德의 《西使記》’에 대해 판본과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중국에 游記 작품이 적은 것은 아니지만 《서사기》에 나타난 상덕의 이동 경로인 중국북부-몽고-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중요한 고대 교통로에 대한 문헌 기록은 《서사기》를 포함하여 몇 작품에 불과하다.
    우선 《서사기》는 실제 여행자와 필자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는데, 彰德府 宣課使를 맡고 있던 상덕이 서역 정벌에 나선 훌라구를 알현하고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口述하고, 이를 당시의 유명 문사인 유욱이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덕에 대해서는 《元史》에 그의 전기가 없고, 생평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이 보이지 않아 자세한 사적을 알 수 없고, 유욱 역시 《金史》와 《元史》에 그의 생애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이 보일 뿐, 개인의 전기가 없어 생애를 고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상덕의 귀국일시에 대해서도 분명한 기록이 없어 본고에서 여행자와 필자에 대한 서술에 어려움이 있었다.
    《서사기》는 다수의 판본과 세 편 정도의 교주본이 있기는 하나 인명과 지명 등에 대한 이표기와 표현에 있어서의 부분적인 異同이 다수 보인다. 이에 필자는 《守約編》, 《墨海金壺》, 《叢書集刊》 등 6종의 판본을 비교한 후, 가장 완정한 것으로 보이는 ‘欽定四庫全書本’을 저본으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판본이 여러 종이지만 이에 대한 종합적 정리가 이뤄져 있지 않으므로 판본을 비교⋅정리한 후 판본의 異同 내용을 도표화하고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서사기》는 상덕이 훌라구의 명을 받아 1259년 和林을 출발하는 여정부터 서술하고 있는데, 이 노선은 이보다 앞서 《西游錄》의 저자이자 실제 여행자였던 耶律楚材도 여러 차례 이용한 길로, 당시 중원과 漠北을 잇는 주요한 교통노선으로 이용되었다. 본고에서는 상덕의 여정에 보이는 지명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전체 여정을 지도로 제시하였다. 《서사기》의 전반부는 상덕이 서역으로 사행을 떠난 이후의 여정이 담겨있고, 후반부에는 훌라구가 중앙아시아의 여러 국가를 정벌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서사기》는 《長春眞人西遊記注》, 《서유록》과 더불어 서역의 문화, 동서교통로, 몽고의 역참제도, 몽고군의 진격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료적 가치 있음에도 선행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고, 중국에서도 《서사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연구논문은 몇 편에 불과하다. 이에 본고가 중국 蒙元 시기 游記文獻 연구에 기여하고, 중서교통사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editions and contents of “Changde’s 《Xishi-Ji》”, a travel document left during the actual trip to the East-West transportation route linking China and the West in the 13th century. Although it is not that there are few travelogues in China, there are only three or four works of literature on important ancient transportation routes to northern China, Mongolia, and Afghanistan, which are Changde’s route shown in the《Xishi-Ji》.
    Since there are a number of editions and three copies of the book, there are many partial differences in the writing and expression of people’s names and names of places. After comparing the six editions, I selected the most complete version of《Xishi-Ji》, “Siku-Quanshu” as a original script and conducted the research. Although there are several editions, there is no comprehensive arrangement for them, so the differences in the editions were charted and the parts that needed explanation were summarized in the form of annotations after comparing and organizing the editions.
    《Xishi-Ji》 describes Changde’s journey under the command of ‘Hulagu’ in 1259, and this route was also used several times by ‘Yelüchucai’, the author and actual traveler of “《Xiyou-Lu》”, and was used as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China and the north of desert at the time. In this stud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geographical names shown on Sangdeok’s journey was confirmed and the entire journey was presented as a map. The first half of “《Xishi-Ji》” contains the journey after Changde left for Western Regions, and the second half describes Hulagu’s conquest of various countries in Central Asia. Notwithstanding that Changde‘s 《Xishi-Ji》 has historical value in various areas such as Western culture, East-West transportation routes, Mongolia’s counterpart system, and Mongolian advance route,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 papers in China and none in Korea that are directly related to《Xishi-Ji》.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avelogues during the Mongol-Won period of China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tudy of Middle and Western transportatio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