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방송사 연구에서 구술사 방법론의 사용과사료 활용에 관하여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nd Implications of Oral Life History Project on Korean Early Broadcaste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10
27P 미리보기
한국방송사 연구에서 구술사 방법론의 사용과사료 활용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53권 / 5호 / 102 ~ 128페이지
    · 저자명 : 백미숙

    초록

    이 글은 수정주의 역사 관점에서 초기 방송인물 구술사 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방송사 연구에 구술사를 채용하기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을 다루었다. 구술자인 초기 방송인들은 첨단 직업인으로서 사회문화적 지배 엘리트이자 한국방송 역사에서 정치적 약자의 복합적 위치에 있었다. 이들에 대한 구술생애사는 국가 중심의 정책 및 제도사의 공식 역사를 넘어서 한국 방송문화와 조직문화의 형성과 제도화의 과정, 방송에 대한 인식의 형성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발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특히 개인의 기억의 구술이 단지 개인의 경험으로부터가 아니라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방송 전문인들의 제작현장과 조직문화, 퇴근 후 일상과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춘 구술생애사의 미시적 접근은 공적 기억과 사적 기억의 구분을 넘어 ‘대항기억’이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고, ‘구체적 일반성’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고 있음을 밝혔다. 이로부터 구술생애사가 한국방송의 다양한 역사상을 구축하는 역사쓰기 작업의 일환으로서 누락된 역사, 배제된 역사의 복원이라는 수정주의 역사쓰기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the case analysis of oral history projects on early broadcasters, who aimed to write multiple ‘stories’ on Korea broadcasting history from the revisionist perspective. Due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at the time, early broadcasters held an complex status as social and cultural elites who were also the political weak.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illustrates how ‘oral life history project’ on early broadcasters enabled the discovery of ‘new’ historical facts and formation of new narratives on the formative process of broadcast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by allowing understanding of broadcasting beyond the established formal history constructed from state-centered policy and institutional history. Particularly, oral statement and narratives of personal memories by early broadcasters were not merely from personal experiences, but they were constructed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Thus, by focusing on broadcasters’ lives within the production sites and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al structure, as well as their personal relations with colleagues and friends, micro approach of oral life history made possible the crossing over of the dichotomy of private and formal spheres, resulting in build up of ‘new’ historical facts. This study states that it could create the imaginative interpretive space for ‘counter memories,’ which enables reconstruction of ‘concrete generality.’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oral history project and studies grounded on it illuminates the great potentials of writing revisionist histories for restoring unwritten, excluded, and omitted histories of Korean broadcas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