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수 사신사(四神砂)의 지형발달사적 해석 (The Geomorphological Forming Processes of Sashinsa in Pungsu)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2
18P 미리보기
풍수 사신사(四神砂)의 지형발달사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역사지리 / 26권 / 3호 / 1 ~ 18페이지
    · 저자명 : 박수진, 최원석, 이도원

    초록

    현대사회에서 풍수는 농경사회를 거치면서 습득된 지형에 대한 이해와 그 이용방법에 대한 경험적 지식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시각에서 풍수의 명당은 생물이나 인간이 생활할 수 있는 자연적 조건의 최적 장소를 표현하는 전통적 개념이다. 명당이 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대표적인 지형적 조건이 사신사이며, 이 개념은 장풍과 득수를 통해 기가 머물고 모일 수 있는 명당의 대표적인 국면으로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풍수이론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사신사의 발달과정을 지형발달사적 측면에서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사신사가 가지는 기후학적, 수문학적, 경관관리적인 의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지형특성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처음 개념화된 사신사가 한국풍수에 수용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을 추정해보았다. 지형학적으로 사신사는 일정한 융기속도 하에서 지표삭박작용이 나타날 때 만들어지는 산지유역의 대표적인 한 형태이다. 하지만, 잘 발달된 사신사 지형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유역내의 침식속도를 줄일 수 있는 좁은 수구의 존재가 필수조건이다. 융기와 침식, 그리고 유역 내에서 물질의 재분배과정이 균형을 이루면서 만들어지는 사신사는 인간이 농경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조건들을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신사가 중국문헌에서 처음 제시되었다고 하지만,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그 개념이 한반도에 도입되고 발전해가는 과정은 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신사는 지형의 형태와 그 내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자연환경특성을 전일적으로 파악하는 독특한 인식틀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부족한 사신사를 보완하려는 전통적인 비보행위는 지형형성작용을 유지·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현대적인 환경관리에서도 주목되는 접근법이다.

    영어초록

    Pungsu (Fengshui in Chinese) in modern society is of significanc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al phenomena gained through agricultural practices, as well as the empirical knowledge of their usage. Along these lines, the bright court (明堂) of Pungsu is the traditional concept referring to the most ideal location that organisms can thrive in. The primary geographical condition required for bright court is the Sashinsa (四神砂, Sands of Four Spirits), which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Gi (氣) is gathered through storing wind (藏風) and gaining water (得水). Sashinsa is not exclusive to Korean; the concept is widely incorporated in East Asian Pungsu theory. This study translat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ypical Sashinsa landform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andform, and utilized the results to analyze their climatological, hydrological, and landscape management significance. It also estimated the process through which Sashinsa - which was first conceptualized in Chinese - was adopted and reinterpreted into Korean Pungsu through terrain analyses of East Asian digital elevation models. Geomorphologically, Sashinsa is a representative form of small catchment that has been shaped under landsurface denudation with a constant uplift rate. However, a narrow water mouth (水口) that decreases the rate of erosion within the catchment is necessary in forming a well-developed Sashinsa. A balance of uplift, erosion, and redistribution of materials within the catchment creates a Sashinsa that can provid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itable for agriculture and dwellings. Consequently, even though Sashinsa is believed to have been first documented in China,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ts incorporation into Korea Pungsu and development is entirely natura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Korean landform. Sashinsa provides unique perception for fully comprehending landform shapes along with various of environmental processes that occur within. The traditional Bibo (裨補), which redeems the weaknesses of Sashinsa, is especially gaining attention in modern environmental management approaches, as it attempts to maintain and develop geomorphological proce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역사지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