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론기』의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 연구 (Study of Shillainbeopsa (新羅因法師) and Shillagukbeopsa (新羅國法師) of Yugaron-gi (瑜伽論記))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8.09
27P 미리보기
『유가론기』의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6권 / 147 ~ 173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석

    초록

    『유가론기』의 2종 판본 중 신수대장경에 수록된 판본에 따르면 ‘新羅○法師’의 형식으로 나오는 신라출신 불교학자는 총 8인이지만, 금장(金藏)에 수록된 판본에는 앞의 8인 중 ‘국법사(國法師)’가 나오지 않으므로 총 7인이 된다. 2종 판본을 비교해보면 이런 혼란은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에게서 발생한다. 이들의 인용횟수는 총3회로서, 그 빈도수는 낮은 편이지만, 그간 잊혔던 신라 출신의 불교학자의 정체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와 목록 등을 검토해보면, 현재로서는 신라출신의 불교학자 가운데 국법사는 발견되지 않고, 금장본에서도 국법사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추가로 발견한 ‘인법사’의 『무량수경』 주석 5곳, 『성유식론』 주석 1곳이 본고에서 다루는 신라인법사의 주석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유가론기』 2종 판본에 나오는 인법사와 국법사의 2인이 실제로는 인법사 1인일 수도 있다는 가정 아래 주석 내용 3회를 전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유가론』에 나오는 총3회의 주석은 모두 『유가론』 본문에 대한 직접적 주석이라기보다는 논쟁이 되는 주제에 대한 참고할만한 해석으로 인용되고 있다. 둘째 『유가론기』에서 하나의 쟁점으로 다뤄지던 보살의 2종류, 즉 ‘일생소계(一生所繫)’와 ‘주최후유(住最後有)’에 대한 주석이 일관되게 등장하는 것을 볼 때 이를 제기한 인물이 신수본의 국법사가 아니라 금장본에 나온 인법사 1인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둔륜이 인법사의 주석을 인용하는 방식을 보면, 그가 기존의 『유가론』의 주석서들뿐만 아니라 여러 유식학자들의 다양한 저술 가운데서 『유가론』과 관련된 의미 있는 진술들을 모두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법사의 활동 시기 등을 추정해보면, 원측, 규기보다는 후대에 활동했고, 둔륜이 『유가론기』를 작성하던 705년 이전에 저술을 남긴 신라 출신 유식학자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mong the two different prints of Yugaron-gi (瑜伽論記 Commentaries on the Yogacārabhūmi-śāstra), the print included in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正新修大藏經), shows total of 8 Buddhist scholars referred as “Shilla○beopsa (新羅○法師)” but the print included in Jin Tripitaka (金藏) excludes the “Gukbeopsa (國法師)” from the 8 scholars, making it total of 7. When comparing the two prints, this confusion comes from Shillainbeopsa (新羅因法師) and Shillagukbeopsa (新羅國法師). They are quoted 3 times in total, which is not frequent, but they are critical evidence in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unsung Buddhist scholars of Shilla. In research from existing studies, Gukbeopsa is not found among Buddhist scholars from Shilla, and even in the Jin Tripitakabon print.
    With the assumption that one scholar is quoted as both Gukbeopsa and Inbeopsa in the two prints of Yugaron-gi, this study reviewed the 3 annotates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ll 3 annotates made from Yugaron-gi are not direct annotates of the paragraph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瑜伽師地論) but are quoted as interpretations which supports the agenda being discussed. Second, annotates on the two kinds of Bodhisattvas, Bodhisattva bound to a single life (一生所繫) and Bodhisattva in his final lifetime (住最後有), which are discussed in the Yugaron-gi, are identical,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cholar who presented them is not Gukbeopsa from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but is Inbeopsa from the Jin Tripitaka. Third, considering how Dunryun (遁倫) quotes annotates of Inbeopsa, it appears that he has referred to various statements from annotate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as well as from records related to Yogācārabhūmi-śāstra. Furthermore, considering the period of Inbeopsa, he was an active scholar during the Shilla period, who had been engaged in writings during the period later than Woncheok (圓測) and Kuiji (窺基), and had wrote records prior to year 705 when Dunryun wrote Yugaron-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