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로트의 고고학(考古學), 뽕의 해부학(解剖學) (An Archaeology of Trot, an Anatomy of Pp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11
38P 미리보기
트로트의 고고학(考古學), 뽕의 해부학(解剖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37호 / 283 ~ 320페이지
    · 저자명 : 신현준, 이준희

    초록

    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오래된 장르인 트로트는 2010년대 후반 이후 예상치 못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사회 일각에서는 그에 따라 트로트를 일종의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으로 거론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로트가 무엇인지, 그 정의(定意)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여전히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점에 대해 저자들은 트로트와 연관된 용어들을 아울러 검토하면서 트로트라는 용어를 간명하게 정의하기 곤란한 이유들을 추적한다.
    트로트의 기원은 1910년대 미국에서 생겨나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동아시아에도 널리 전파된 폭스트롯(foxtrot)이라는 사교댄스 및 이와 연관된 음악의 리듬이다. 1945년 이후 한국에서 이런 서사가 점차 주변화되면서 ‘fox’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trot’는 도롯도, 트롯트, 트로트, 트롯, 다시 트로트로 지배적 표기법이 변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여기에는 여러 차례 개정된 외래어 표기법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이런 표기법의 명목적 변화는, 미국에서 유래한 음악(래그타임)의 리듬 패턴 및 사교댄스를 지칭하던 단어가 곡(曲)이나 조(調)라는 단어와 결합되어 음계, 선법, 선율에 초점을 둔 재래調 양식을 지칭하는 단어로 변환되는 실체적 변화를 동반했다.
    ‘반민족적’ 왜색調 혹은 일본調라는 ‘순수’ 음악가와 평론가의 집요한 비판이 수행되던 1967년에 비로소 주류 언론에 등장한 트로트는, 1970-80년대 상업적 전성을 이룬 양식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고, 이때 전형이 이후 한국 학계에서 트로트에 대한 지배적 이해를 형성했다고 추정된다. 그렇지만 이런 이념형은 고정불변으로 유지되지 않았기에, 한편으로는 ‘팝’ 계열과의 치열한 경쟁 및 활발한 상호작용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일본에서 시장이 확보된 ‘한국 엔카’의 일정한 영향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했다. 그 과정에서 1970-80년대에 트로트와 호환적으로 사용되었던 뽕짝은 1990년대부터는 ‘메들리 카세트’라는 매체를 통해 트로트와는 별도의 갈래로 분리되었고, 뽕 혹은 뽕끼라는 속어는 음악의 양식을 넘어서는 음향의 분위기와 기운을 지칭하는 용어로 진화해 왔다.
    트로트의 역사가 이렇게 복잡하다면, 그 용어가 실제 사용되었던 시대의 전형을 암묵적으로 전제하면서 그것을 이전과 이후 시대로까지 무리하게 확장하는 데에 신중을 기할 것을 제안한다. 즉, 1950년대 이전 트로트라는 용어가 없었던 시대와 2000년대 이후 트로트의 실체가 모호해진 시대에 트로트라는 명칭을 사용할지 아니면 별도의 명칭을 사용할지는, 토론이 필요한 사안이지 기성의 관습에 기대어 논의를 침묵시킬 사안은 아니라는 뜻이다. 역으로 이는 21세기에 미학적 의미가 더 선명해진 뽕이나 뽕끼라는 명칭을 좀 더 개방적으로 사용하자는 주장을 함축한다. 이를 위한 개념화의 필요성을 요청하는 이유는 뽕과 연관된 음악적 실천들이 ‘트로트 연구’를 훌쩍 넘어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genre of trot, often regarded as a longstanding form of Korean popular music, has experienced an unexpected resurgence since the late 2010s, prompting some scholars to propose its designation as cultural heritage. Despite this burgeoning interest, there remains a significant lack of consensus in academia regarding a clear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trot. To address this issue, the authors explore several terms associated with trot to illuminate the challenges inherent in its definition.
    The term trot originates from the foxtrot, a social dance and its accompanying music that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10s and subsequently spread to East Asia before the World War II. Following 1945, this narrative gradually became marginalized in Korea; the “fox” component faded from usage, while the term “trot” evolved through various dominant notations such as torotto (도롯도), t’ŭrott’ŭ (트롯트), t’ŭrot’ŭ (트로트), t’ŭrot (트롯), eventually returning to t’ŭrot’ŭ (트로트). It hould be noted that this transform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veral revisions to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rules. The nominal changes in notation reflect a substantive shift, where a term that once referred to rhythmic patterns derived from North American music (specifically ragtime) and social dance became integrated with terms such as composition (kok) or style (cho). This integration facilit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terminology into one that denotes conventional styles focused on scales, modes, and melodies.
    Trot (t’ŭrot’ŭ) first appeared in mainstream media in 1967 amid persistent critiques from musicians and critics who labeled it as “anti-national” or “Jap-tinged” music. By the 1970s and 1980s, trot had become emblematic of a commercially successful genre, and this archetype is believed to have shaped the prevailing academic understanding of trot in Korea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this ideal type has not remained static; it has continuously transformed due to intense competition and interaction with homegrown “pop” genres on the one hand, as well as finding out a niche market of “Korean enka” in Japan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term ppongtchak (뽕짝), used interchangeably with trot, became delineated into a distinct genre through the medium of “medley cassettes” in the 1990s. The slang terms ppong (뽕) and ppongkki (뽕끼) have since evolved to signify the sonic mood and atmosphere of music beyond its stylistic confines.
    When academically examining the history of a genre, it is essential to acknowledge the implicit archetype of the term as it was actually employed 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to refrain from excessively extending its application to preceding or subsequent eras.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term “trot (t’ŭrot’ŭ)” in periods prior to the 1950s-when the term itself did not exist-and in the post-2000s, when the substance of trot has become ambiguous, warrants careful discussion rather than being stifled by existing conventions. Conversely, this suggests that employing the terms ppong and ppongkki, which have gained clearer aesthetic significance in the 21st century, is encouraged, and calls for a conceptualization to support this shift. It arises from the observation that musical practices associated with ppong have expanded well beyond the scope of “trot studies” in the academ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