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빵 문화 변천의 사회문화적 과정 (The Socio-cultural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Bread Cul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한국 빵 문화 변천의 사회문화적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16권 / 4호 / 201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춘동

    초록

    한국의 빵문화는 빵이 도입된 구한말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가 겪은 정치적, 사회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 변화에 상응하여 급격히 변화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빵문화의 변화를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빵의 변천사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본고에서는 각 시기를 표상하는 아이콘이라고 생각되는 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 강점기의 아이콘은 단팥빵이라고 보았다. 단팥빵은 일본을 통해 접하게 된 일본화된 서구 근대문화를 정확히 그대로 나타내 주는 빵이다. 6.25 전후와 근대화시기를 표상하는 아이콘은 옥수수빵과 슬라이스 식빵이라고 생각한다. 전후 가난과 배고픔을 달래주었던 무상 급식 옥수수빵, 그리고 근대화 정책의 하나로 추진된 식생활 개선운동에서 아침식사로 빵을 권장할 때 모델이 되었던 미국식 아침식사의 중심으로 여겼던 토스트 빵(흰빵, 슬라이스 식빵)은 그 시대의 아이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전후와 근대화시기를 함께 묶은 것은 우리 식생활의 바탕이 되었던 기존 농업체계가 이 시기를 통해 미국의 세계농업체계 구축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 변환을 겪게 되었고 여기서 핵심적 역할을 한 곡물이 밀과 옥수수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기업적 제빵시기의 아이콘은 크림빵이라고 보았다. 당시 삼립식품 등 기업들이 빵을 대량생산하여 출시하였는데 그 주요 소비층은 학생 등 젊은 층이었고 주로 학교 매점과 군대에서 사서 먹었다. 지금도 그 때를 추억하는 중장년층은 빵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크림빵이다.
    프렌차이즈 제빵시기의 아이콘으로는 바게뜨를 선정하였다. 이 시기에 제빵업자들은 빵을 고급화, 다양화하고 양산빵과 차별화되는 오븐 베이커리로 신선한 빵을 제공하여 고급화(빵의 고급화는 빵의 본 고장인 서구에 닮아 가는 것이다), 차별화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입맛에 부응하고자 했다. 프렌차이즈 사업을 선도하고 업계 1위의 프렌차이즈 기업이 된 파리바게뜨가 대표적이다. 파리바게뜨는 그 명칭 속에 소비자의 욕구를 그대로 담고 있는데 바게뜨를 내세운 것은 고급빵 하면 프랑스빵이고 신선한 오븐베이커리의 프랑스빵을 대표하는 빵은 말할 것도 없이 바게뜨라는 인식을 담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제 장인 동네빵집시기를 표상하는 아이콘으로 빵 드 깜빠뉴를 선정하였다. 이 시기를 풍미하는 진정성, 건강, 환경, 지역공동체 담론에 편승해 상업적으로 내세운 프랑스, 독일, 이태리 등 유럽의 건강 식사빵을 대표하는 빵이 빵 드 깜빠뉴라고 생각하였다. 빵 드 깜빠뉴는 시골빵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 농민의 전통빵이다. 줄여서 깜빠뉴라고 부르는데 이 시기의 담론을 오롯이 담고 있다.
    일제 시기부터 최근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이었지만 한국의 빵문화는 급격한 변모를 겪어 왔다. 이런 변화의 의미는 한국 현대사의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어느 정도 읽어 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빵문화가 내적인 사회문화적 과정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변화되어 온 것은 아니다. 한국 빵문화의 고향인 유럽과 특히 미국에서 일어난 빵 문화를 변화시킨 사회문화적 변화들이 시간차를 두고 반영되기도 하고 서구에서의 소비패턴의 변화를 감지한 업자들이 상업적 전략으로 변화를 주도하기도 한다. 여기에 해외 생활을 한 사람들이 가져오는 문화적 경험들이 변화를 자극하기도 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변화에 작용해 온 것은 분명한 사실이긴 하지만 각각이 어느 정도로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해 왔는지 밝히기는 쉽지 않다. 내적 외적 요인들이 얽혀 복잡하게 작동해 왔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culture of bread in Korea changed radically according to the political, socio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since the end of Chosun dynasty when the bread was introduced. In this paper I divided the change of bread culture in five periods,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period, the period of factory bread, the period of franchise bakery and the period of artisan bakery.
    I suggested icon-bread of each period. The icon-bread of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s Danpatbbang(단팥빵). Danpatbbang(단팥빵) symbolize Japanized European modern culture.
    The icon-bread of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period is white bread and corn bread. These were Free meals for the poor(corn bread) and one item of the Improvement of eating habits(white bread). And these played a role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Korean agricultural system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America's control of global food system.
    The icon-bread of the period of factory bread is Cream bread(크림빵). This is produced massively by Samlip bread company and the consumer of it was younger generation who bought it at the store of school and military PX.
    The icon-bread of the period of franchise bakery is baguette. In this period the consumers wanted the fresh and high quality bread differentiated from factory bread and envied European food culture. Representative bread of the biggest franchise company ‘Paris baguette’ is baguette. Baguette is the symbol of France and fresh oven bakery.
    The icon-bread of the period of artisan bakery is 'Pain de campagne'. This is the symbol of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wellbeing,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Though the history of bread in Korea is short, the culture of it was changed rapidly. The meaning of this change can be understood in the stream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 in Korea. But the influence of the change of bread culture in America and Europe must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