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현황 (Current Statu of Samata and Vipassanā Practice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12
106P 미리보기
한국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宗學硏究 / 2권 / 3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재성

    초록

    본고는 현대 한국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에 대해서 수행센터와수행지도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 수행센터 정보, 2. 지도자관련 정보 3. 수행방법 4. 수행 소의경전 및 문헌: 5. 수행의 효과 등에대한 연구나 조사 소개, 6. 수행일정, 7. 회원 현황, 8. 국내외 관련 수련단체나 지도자, 9. 홈페이지나 온라인 커뮤니티, 10. 지도자 및 수행센터 연락처 11. 기타 알리고 싶은 정보를 설문내용으로 질문하였고, 전국의 27곳의 수행센터나 수행지도자를 중심으로 한국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세계적으로 널리 수행되고 있는 마하시 전통의 위빠사나와 고엔카전통의 위빠사나 그리고 파욱 전통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 세 가지 수행법에서 공통으로 중시하는 소의 경전은 대념처경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통과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다양한 사마타와 위빠사나 전통을 초기경전과 테라와다 문헌에 입각해서 수행을 지도하고 있는 수행센터도 있었고, 이런 수행전통과 별관련 없이 초기경전을 중심으로 수행을 지도하고 있는 곳도 있었다. 또한 초기불교나 테라와다불교뿐만 아니라 대승불교와 현대 명상과 접목하여 지도하는 곳도 있다. 한국에 위빠사나가 전해진지 30년이 지나는 현시점에서 눈에 띄는점은 테라와다 수행을 진지하게 따르는 전통(대부분의 마하시 전통과 파욱 전통)이 주된 흐름이지만, 초기경전에 입각해서 사마타와 위빠사나 즉 선정과 지혜(제따와나선원, 해피법당) 또는 사띠(SATI SCHOOL)와 8정도(연꽃필 무렵)에 입각해서 새롭게 정립해 나가는움직임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한국적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 전통이 정립되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인다. 그리고 아직 소수이기는 하지만 태국 숲속 전통에 입각한 수행도 소개되고 있는 점도 새로운 움직임으로 보인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는 마하시 전통의 순수 위빠사나가 주류를 이루어 소개되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파욱 전통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소개에 의해 사마타 수행을 닦고 난 후에 위빠사나를 수행하는 전통이 확대되고 있는 점과 마하시 전통에서도 자애수행을 겸비할 것을 지도하는 우 자나까 사야도의 가르침이 전해지고 있다는 점, 담마 코리아의 설립과 함께 고엔카 전통의 위빠사나 수행이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점도이 눈에 띈다. 한국에 소개된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은 그 전통을 이어가면서, 대승불교의 수행(선불교와 티베트 불교 수행)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한 모색과 현대 심리학에서 응용되고 있는 마음챙김 기반 치료개입과의 관계 속에서 명상의 현대적 의미에 대한 모색도 요청되고 있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s of Samata and Vipassana in modern Korea, focusing on Meditation centers and leaders. This paper asked following information: 1. Information on the meditation Center, 2.
    Information on Leaders 3. How to practice, 4. Scriptures and Literatures of the meditation: 5. Introduction to Research or Survey on the Effect of meditation, 6. Meditation Schedule, 7. Membership Status, 8.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lated Meditation Organizations or leaders, 9. Websites or online communities, 10. Contact information of leaders and practice centers. 11. Information to share. I checked the current situation of 27 meditaion centers and leaders in the Korea.
    It is known that the Vipassana of the Mahashi tradition, the Vipassana of the Goenka tradition, and the Samatha and Vipassana of the Pa-auk tradition, which are widely practiced around the world, were the mainstream in the Korea. There were also meditation centers that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these traditions to guide the practice of various Samatha and Vipassana traditions based o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the Theravada literature. There were some meditaion centers, In addition, teach not only early Buddhism and Theravada Buddhism but also Mahayana Buddhism and modern meditation together.
    In the 30 years since Vipassana meditation came to Korea, the main trend is the tradition that follows the Theravada meditation practice seriously (most Mahashi tradition and Pa-auk tradition), but based on the early Buddhism literatures, It is also showing a new movement. In this move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Korean style of Samatha and Vipassana meditation tradition can be established. There are also new movements that are still being introduced, the meditation traditions based on the Thai forest tradition.
    In the 1990s and 2000s, the Vipassana of the Mahashi tradition was introduced in the mainstream, bu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a-auk tradition samatha and vipassana, the practice of Vipassana after practicing Samatha become popular in the 2000s. It is also noticeable that Mahasi Vipassana meditation combined with Metta meditation,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Dhamma Korea, the Goenka vipassana tradition have settled down.
    Samatha and Vipassana practices, introduced to Korea, continue their traditions and explor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the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Seon Buddhism and Tibetan Buddh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modern psychology. Seems to be seeking for the modern meaning of med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