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OVID-19 전ㆍ후 우울감 완화를 위한 도시공간 활용의 변화 분석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와 KoBERTopic 모형의 적용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ce Usage for Alleviating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Application of KoBERTopic Model with Social Media Bigdat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4
17P 미리보기
COVID-19 전ㆍ후 우울감 완화를 위한 도시공간 활용의 변화 분석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와 KoBERTopic 모형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설계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설계 / 25권 / 2호 / 109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혜빈, 이수기

    초록

    COVID-19가 범지구적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전 세계적으로 우울장애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도시공간이 도시민들에게 우울감 해결책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은 주요한쟁점이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와 토픽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COVID-19 전ㆍ후로서울특별시의 도시공간 활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해당 기간 크게 성장한 소셜미디어 서비스인 ‘네이버 블로그’를 웹크롤링한 뒤, 본문과 첨부된 위치정보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이후 기존의 밀집 핫스팟 지역이었던 강남대로와 홍대입구역 인근 위치태깅 밀도가 감소하였다. 둘째, COVID-19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핫스팟이 주거지 및 서울숲 인근에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원’, ‘서울숲’, ‘한강’ 등 도시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관련 키워드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원’, ‘산책’ 등 키워드의 중요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기간 전ㆍ후로 도시민들이 우울감완화를 위해 도시공간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공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With COVID-19 emerging as a global social issue, there has been a worldwide increas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urban spaces in addressing depression among city dwellers is a crucial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utilization of urban spaces in Seoul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social media big data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web crawling the widely used social media service ‘Naver Blog’ during the COVID-19 period, extracting text content, and collecting attached location information. The key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nsity of geo-tagged locations in previously dense hotspots such as ‘Gangnam Avenue’ and ‘Hongik University station’ decreased after COVID-19. Second, new hotspots emerged near residential areas and ‘Seoul Forest’ that did not exist before COVID-19. Third, keywords related to urban parks and open spaces, such as ‘park’, ‘Seoul Forest’, and ‘Han River’, newly appeared with a notabl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keywords like ‘park’ and ‘stro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w urban residents utilized urban spaces to alleviate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