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사법절차 전자화와 빅 데이터를 이용한 양형합리화 방안 모색 (Digitalization of the Criminal Justice Procedure and Applying Big data Analytics in Rationalization of Criminal Sentenc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6.02
30P 미리보기
형사사법절차 전자화와 빅 데이터를 이용한 양형합리화 방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7권 / 1호 / 419 ~ 448페이지
    · 저자명 : 양종모

    초록

    현대사회는 모바일 혁명으로 인해 초연결사회로 이행되었으며, 그로 인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의 연결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면서 빅 데이터가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빅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분석처리기술로 인해 빅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은 무궁무진하고, 그 가치도 높다. 모바일 환경으로 인해 인간은 언제, 어디서나 각종 정보를 접하고, 획득할 수 있다. SNS가 일상화되면서 SNS와의 단절은 고립을 의미하게 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정보유통은 소비가 생산의 측면을 함께 가지는 양면성이 있다. 빅 데이터 시대에정보는 체계적인 지식생산시스템에서 계획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비의도적인 지식 소비활동 차원에서도 일어난다. 형사사법절차도 정보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일종의 정보시스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최근 형사사법절차 전자화 촉진법, 약식절차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따라 대부분의 범죄정보가 전자적 형태로 생성되고, 보존되면서 형사사법절차도 빅 데이터 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사사법절차 전자화와 형사사법정보시스템에 대하여 비판적 견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형사사법절차에서 생성된전자사법정보가 대량으로 축적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이와 같이 축적된 대량의 빅 데이터를 활용·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범죄 예측과 능동적대응, 그리고 양형 합리화 방안 모색과 같은 형사사법에 활용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커졌다. 본고에서는 현재 전자약식절차에 국한되어 있는 전자화를 형사사건 절차 전반에확대할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기왕의 형사사법절차는 공정성이나 투명성 면에서 불신을 받아왔다. 특히 양형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뿌리 깊다. 형사사법절차 전자화는이러한 형사사법절차의 신뢰회복에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다. 형사사법절차 전자화로 형성된 빅 데이터, 즉 전자사법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등 통계적 기법으로 양형과정에 적절히활용하면 공정성 확보는 물론 투명성도 높여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형벌의 범죄억제효과도 거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서위력을 발휘하는 것이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학습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양형기준과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고, 위험평가에 기초한 양형방안과 이러한 위험평가에 빅 데이터 처리기술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였다. 형사사법절차에서 형성된빅 데이터 활용 방안이 양형합리화에 기여할 것은 분명하다.

    영어초록

    We are in a new era of big data. “Big data” is an inclusive term used to describ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Contrary to traditional data which is typically stored in a relational database, big data varies in terms of volume, velocity, and variety. Big data is typically generated in large volumes. Big data comes from everywhere: social data, machine data and transactional data.
    Analytics has always involved attempts to improve decision making, and big data contributes that. Large organizations are seeking both faster and better decisions with big data, and Law enforcement also are seeking them.
    The big data trend promises that harnessing the wealth and volume of information leads to better operational efficiency, and competitive advantage. Traditional analytics tools are not well suited to capturing the full value of big data. Machine learning is ideal for unlocking hidden profits in big data. It fulfills the promise of extracting value from big data with less reliance on human intervention. It is well suited to the complexity of dealing with disparate data sources and the huge variety of variables and amounts of data involved. And unlike traditional analysis, machine learning thrives on growing datasets. The more data fed into a machine learning system, the more it can learn andapply the results to higher quality insights.
    One of the basic arguments in this article is extended enforcement of the digitalization of the criminal justice procedure. With the execution of Act on promoting the digitalization of the criminal justice procedure and Act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n summary procedures, A criminal justice agency shall store and keep decisions, indictments, warrants, records and other documents concerning criminal justice affairs by using their systems. The stored and kept data in this procedure is intrinsically characterized as Big data in terms of volume and variety. Byproducts of all this data are the new insights that can drive judicial decision making in new way. The new insights will contribute to a process of reform of our justice systems to render them more effective. In korea, substantial disparity in criminal sentencing is a critical issue. The Sentencing Guidelines were designed to eliminate this sentencing dispariti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big data analytics will help to improve eliminating sentencing disparity and effective law-enforcement.
    This article presents the actuarial risk assessment instrument used to predict the risk of future dangerousness in United States. Actuarial method of risk assessment is designed to predict specific behaviors within a specific time frame. The stated goal of the actuarial method is to predict future dangerousness in a relative sense, by comparing an individual to a norm-based reference group. Big data analytics will also improve this actuarial risk assessment. This article also suggests Machine learning-based legal expert system that help judges explain why they decided that way. Since machine learning algorithm can be very good at detecting hard to observe relationship between data, it may be possible to detect obscured association between certain variables in criminal case and particular legal outcomes. Probably this expert system outperforms several experts in terms of predicting judicial outco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