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빅데이터 사회와 새로운 인권 구상 (Modern Big Data Society and a New Concept of Human Righ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09
33P 미리보기
현대 빅데이터 사회와 새로운 인권 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안암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암법학 / 57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양천수, 우세나

    초록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법적 문제가 등장하고있다. 이러한 예로서 ‘빅데이터’(big data)와 관련된 문제를 들 수 있다.
    빅데이터는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새로운 사회적 공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빅데이터는 우리에게 새로운 위험을 안겨준다. 가장 먼저언급할 만한 것으로서 빅데이터에 의해 우리의 내밀한 개인정보가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빅데이터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을 야기한다. 그러면 이렇게 빅데이터가 야기하는 위험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빅데이터가 가져다주는 사회적 혜택을 누리면서도 빅데이터가 초래하는 위험을 억제할 수 있을까? 이 글은 ‘빅데이터와 인권’이라는 견지에서 이 문제에 접근한다.
    빅데이터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형식적 의미와 실질적 의미가 그것이다. 형식적인 의미로 볼 때, 빅데이터란 거대한 데이터를 말한다. 실질적인 의미로 볼 때, 빅데이터란 수학적 알고리즘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과거에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정보나 통찰을 발견하고 이로써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빅데이터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다양한 사회적 공리를 창출한다. 빅데이터는 새로운 정보나 통찰을 얻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빅데이터 역시 부정적인 역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말하자면, 빅데이터 그 자체가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빅데이터가 초래하는 위험은 크게 세 가지 단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빅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침해할수 있다. 둘째,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편향성’이라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차별’이라는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이렇게 빅데이터가 야기하는 위험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하는가?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는 방안으로는 크게 권리중심적 대응방안과 의무중심적 대응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권리중심적 대응방안은 각 개인에게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위험에 대처하는 방안을 말한다. 이에 대해의무중심적 대응방안은 개인적ㆍ사회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행위주체에게 특정한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그 상대방이나 사회 전체를 보호하는대응방안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두 가지 방안 중에서 기본적으로권리중심적 대응방안을 선택하는 것이 타당하다. 권리중심적 대응방안 중에서도 인권으로써 빅데이터가 야기하는 위험에 대응하는 방안이 가장바람직한 방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권이야말로 가장 포괄적이면서 보편적인 권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빅데이터가 야기하는 위험에대응하는 방안으로 인권을 선택한다면, 빅데이터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인권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해 이 글은 기존의‘정보인권’을 보완하는 인권으로서 ‘빅데이터 인권’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oday,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new legal problems are emerging. An example of those is the problem associated with ‘Big Data’. Big Data provides new social utilities that were not possible before. At the same time, however, Big Data puts us at new risks. The first thing to mention is that Big Data can seriously infringe our intimate personal information. Big Data also poses a variety of social risks. So how do we deal with the risks of this Big Data? This article approaches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Big Data and a new concept of human rights.’ Big Data has two meanings. It is formal and practical. In a formal meaning, Big Data is simply huge data. In a practical meaning, Big Data is the analysis of big data with mathematical algorithms to discover new information or insights that were not known in the past, and thus to predict the future. Big Data can be utilized in diverse areas of society and helps to gain new information and insights. However, Big Data can also perform negative dysfunctions. There are three major stages in the risk of Big Data. First, at the stage of collecting big data, Big Data can infringe personal information. Second, there is a risk of ‘bias’ in analyzing Big Data. Third, there is a risk of ‘new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using Big Data.
    So how do we respond to the risks of this Big Data?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ose risks,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rights-based countermeasure and a duty-based countermeasure. The rights-based countermeasure is a measure to cope with risks by granting rights to each individual. The duty-based countermeasure is countermeasure to protect the other party or the society as a whole by imposing certain obligations on the actors who can cause personal and social risks.
    Nowadays, it is reasonable to choose the rights-based countermeasure from these two methods. Especially, the human rights-based countermeasure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his is because human rights are the most comprehensive and universal right. If we choose human rights as a way to respond to the risks posed by Big Data, we need to refine human rights so that we can effectively respond to Big Data risk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oposes ‘human rights against Big Data’ as human rights complementing ‘human rights to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암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