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 (A Study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10
13P 미리보기
초등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0호 / 799 ~ 811페이지
    · 저자명 : 성경환, 권동택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유형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인간의 행동 및 심리 과정을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의 철학적⋅심리학적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서 실시되었다. 위르겐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많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교사의 성격적 특성에 중점을 둔 개인적 측면에 초점이맞추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따른 비언어적 행동 요소의 분류를 통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교사 개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맥락에 대한 고려의필요성에 따라 나타나는 행동양상을 크게 두 가지 유형인 신체언어형과 환경 언어형으로 구분하였다. 하위요소로 신체움직임, 신체감각, 목소리 등의 신체기관을 수단으로 하는 신체언어형 의사소통 행동유형과 물리적인 시간 및 공간, 인공적 상징, 사회체계를 하위 요소로 하는 환경 언어형 의사소통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실이라는 맥락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어떠한가를 살필 때 우리의 시선은 교사 개인의성격적 특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연구들과 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를 측정한 연구들이 많았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체계의 복잡성 및 그 요소들의 범위가 매우 넓어 유형화 하기 어려웠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실시된 본 연구에서는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들을 공통적인것들로 구분하고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를 가진 교사 한 개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개인이 몸담고 있는 실제삶의 맥락인 학교, 교실, 수업, 상황이라는 시⋅공간적 환경의 통합적인 관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integrated approach to education that can scientifically support various perspectives on human behavior and human behavior and psychological processes for the study of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al typ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of Jurgen Habermas and Satir,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n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Results Looking at many previous studi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focused on the personal aspect with emphasis on th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In this study, the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considered not only in the personal aspect of the teacher but also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through Habermas and Satir's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and classification of nonverbal behavioral facto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behavioral patterns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body language type and environment language type. As sub-elements, body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body organs such as body movements, body sensations, and voices, and environmental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physical time and space, artificial symbols, and social systems as sub-elements. classified.
    Conclusions Conclusion When looking at the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in the existing studie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our gaze is focu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measured the frequency.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because the complexit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ange of its elements are very wide,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y of Habermas and Satir, various nonverbal elements appearing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eachers were identified as common.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teacher with a body, the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type is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temporal and spatial environment of school, classroom, class, and situation, which are the real life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 is involved. will have to be understood 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