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비공식경제론과 그 사회정치적 함의 (Theorizations of Informal Economy and its Socio-Political Implications in Post-Reform Chin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1.09
39P 미리보기
중국의 비공식경제론과 그 사회정치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제.지역연구 / 20권 / 3호 / 111 ~ 149페이지
    · 저자명 : 장호준

    초록

    이 논문은 중국에서의 비공식부문/경제에 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공식경제 담론의 확대재생산이 지니는 사회정치적 함의를 탐색하고 있다. 먼저 이 글은 비공식경제에 관한 중국 내 서로 다른 입장들이 이론적 전거로 삼고 있는 서구학계의 다양한 비공식경제론을 그 단계적 발전과 분화 과정에 주목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사회경제적 실재로서의 비공식경제와 이론적 개념으로서의 비공식경제를 방법론적으로 구별하고 양자가 중국 상황에서 어떻게 분리된 채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비공식경제 개념은 그 부정적인 정치적 함의로 인해 금기시되다가, 1996년 상하이 시정부가 실직 노동자들의 재취로 사업의 일환으로 비공식부문 취업을 장려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논문은 또한 중국 내 비공식경제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개념이 이론적인 도구를 넘어 급속한 경제자유화 시기의 사회경제적 현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해석의 틀로 작용하는 양상을 분석한다. 2000년대 초반 시장경제체제에 적합한 새로운 경제 질서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비공식경제는 공식경제와 불법경제와의 대립적 병치를 통해 현대 중국경제의 주요 구성부분인 사영기업과 개체호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범주로 개념화되었다. 서구에서 수입된 이 학술적 개념은, 체제 전환기 중국 상황에서 이렇게 긍정적으로 개념화됨에 따라, 국가가 용인할 수 있는 경제 현상 및 관행과 용인할 수 없는 그것들을 정치적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구별하게 하는 이데올로기적인 범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orizations regarding the informal sector/economy, a vogue concept in current Chinese academia, and explores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dissemination and reproduction of such discourses. First, this article review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major strands of informal economy theory upheld by western scholars, which Chinese scholars draw upon in formulating their differing views. Second, it examines the way two dimensions of informal economy, one as a socioeconomic reality and the other as a theoretical concept, have developed separately in China. The term informal economy, which had previously been avoided because of its negative political connotations, began to be used by Chinese officials as the Shanghai municipal government actively promoted informal sector jobs for those out of work. Third, this article analyzes points of agreement and contention amongst domestic scholars with diverse views, and examines how the concept operates as not simply a theoretical tool but also as an ideological framework through which to interpret the changes in socio-economic realities resulted from the economic liberalization policies. China’s scholars and policy advisors have shifted representational discourses regarding the informal economy away from notions of illegality and being ‘underground’ to inclusively defining it as an integral component in relation to the success of private enterprises and individual business households, which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national economy. The concept imported from the west, thus, functions as an ideological category through which the state can create arbitrary distinctions between acceptable and non-acceptable forms of economic practices and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지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