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법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Healthcare False Claims In 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3.04
39P 미리보기
미국의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법제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4권 / 1호 / 181 ~ 219페이지
    · 저자명 : 박민영

    초록

    과다 청구되는 의료비와 의료급여비용, 건강검진비용, 요양급여비용 등 부당하게 청구되는 의료비용은 고스란히 국민이 부담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의료보험사기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수사인력의 확충, 신고포상금 등 의료비 과다청구 환급제도의 도입 등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과는 아주 저조하다. 미국도 과다의료비문제가 제일 큰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주로 의료공급자에 대한 규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민형사상 벌금 및 과징금과 의료수급체계에서 배제시키는 방법이 기본적인 수단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 논문은 부정한 의료비청구를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취지에서 현행 미국의 의료보험제도와 보건ㆍ의료비 부정청구 방지 법제를 중심으로 법리를 검토하는 동시, 우리나라에서의 도입가능성과 범위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①미국의 공공의료보험제도, ②금품수수금지법제, ③허위청구방지법, ④전통적인 반환의 법리 등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법리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공공의료보험제도는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시스템을 주축으로 하는 데, 그 대상자와 진료의 종류에 따라 급여의 방식이 다르다. 특히, 파트A의 급여는 입원환자에 대한 병원서비스, 퇴원 후 전문요양원(Skilled Nursing Home)에서의 요양서비스, 퇴원ㆍ퇴소후의 가정의료서비스, 호스피스ㆍ간호서비스, 수혈 등 크게 5가지로 나누어진다. 파트B는 의사의 의료서비스, 외래병원 서비스, 물리치료ㆍ작업치료 등과 같이 파트A에서는 급여가 되지 않는 기타 의료서비스와 가정의료서비스가 있다. 파트C는 환자가 의사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하여 각종 우대옵션이 있는 보험으로 HMO, PPO에 따라 의료비가 지급된다. 파트D는 처방약보험으로 매달 일정보험료에 대한 일부 부담이다. 메디케이드는 급여가 의무적인 대상자와 그렇지 않는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으며, ①제도대상자에 대한 필수급여서비스, ② 제도대상자에 대한 주의 임의급여가 가능한 서비스, ③ 제도대상자에 대한 급여를 행할 경우의 필수급여서비스를 정하고 있다.
    미국은 공공의료보험상 행위별 수가제에 의한 진료의 팽창이 결과적으로 진료비가 급격하게 팽창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 되자 금품수수방지법을 개정하여 보험범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금품수수방지법은 범죄자가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상 악의 또는 고의로 기망행위를 하여 이득을 편취하였다는 구체적 증거를 제시할 필요 없이 개연성만으로도 기소가 가능하도록 입증책임을 완화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와 의료공급자 모두에서 금품수수금지법의 규정에는 위반되지만 기존의 사업관행상 전통적으로 인정한 것을 정리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면책조항(safe habor)의 법리를 적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허위청구방지법은 사인의 청구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허위청구로 인한 국고손실에 대한 환수가 크게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주민감시제도가 정착되면서 부패 내지 구조적 부조리가 급감하였다. 물론 기생소송 등 남소의 폐해가 문제될 수 있지만 허위청구를 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불가피하며 유일한 대안이라고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비 허위청구의 유형과 소송상 쟁점 등을 검토하였다.
    그 밖에 민사벌금법(Civil Monetary Penalties Law, CMPL), 우편ㆍ전산사기 방지법(Mail and Wire Fraud Statutes), 조직적 공갈협박 및 범죄조장행위 처벌법(Racketeer Influenced and Corrupt Organizations Act: RICO Act), 금전세탁방지법(Money Laundering) 등 의료비과다청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제의 내용과 구체적 적용범위를 개관하였고, 판례에 의하여 발전된 부당이득환수의 법리, 불법행위 배상청구의 법리적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①의료지출의 효율성 제고 ②국민의 의료 접근성 향상 ③예방의학 및 공중보건 강화를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는 미국의 의료통제법리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적어도 허위의료비청구와 관련하여 미국의 금품수수금지법제나 허위청구방지법제는 전향적인 자세에서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Since its inception in 1863, the federal False Claims Act(the “Act”) has included provisions whereby citizens can assist in the detection and enforcement of frauds against the government. To increase fraud recoveries, the Act authorizes private citizens(“relators”) to sue on behalf of the government(“qui tam” lawsuits) when they detect a fraud that is not already the subject of a federal enforcement action.
    Periodically, Congress has adjusted the Act's qui tam provisions in order to balance its dual goals of creating, on the one hand, sufficient incentives for private parties to detect and pursue frauds, but to discourage, on the other hand, qui tam actions where the federal government already has the ability to discover and prosecute the fraud on its own. Over the years, Congress aimed to attain the “golden mean”--an equitable balance between encouraging private fraud detection that increases federal fraud recoveries but discouraging “parasitic” qui tam actions where the relator merely asserts fraud claim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public.
    The most recent adjustments to the qui tam provisions of the Act occurred with the enactment of health reform,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Amidst a national recession that ballooned the ranks of the uninsured and reports of rampant health care frauds that were robbing millions of dollars from federal health care programs, Congress sought to expand incentives for private citizens to detect and report health care frauds.
    And for two of its almost three decades, the Medicare antikickback law(now applicable to nearly all federal health care programs) served as an allegory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truly corrupt behavior, such as naked bribes or kickbacks in exchange for patient referrals. Other part saw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s(DHHS's) Office of Inspector General(OIG) boldly staking out new territory in a series of “safe harbor” regulations, special fraud alerts, indictments, and enforcement proceedings.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purposes and history of the antikickback law and describes its evolution into a potent weapon against the corruption of medical decision making in the procurement of prescription drugs and medical devices. The article also details these recent amendments to the qui tam provisions of the False Claims Act, focusing on the enormous expansion of relators' ability to commence qui tam actions, and changes to the qui tam bar that are likely to result. While the purposes of the law are laudable, its current broad interpretation may impede not only corruption, but also benign forms of customer relations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cost-effective medical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