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터 비식별화 논의의 쟁점과 맹점 (The Point of Issue and Blind on a Debate concerning De-identification of Dat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데이터 비식별화 논의의 쟁점과 맹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5권 / 2호 / 289 ~ 321페이지
    · 저자명 : 오길영

    초록

    본고는 데이터 비식별화에 대한 담론이 지속적인 대립과 답보 상태에 머물러있는 현재의 국내 상황에 즈음하여, 그 진전을 위하여 필요한 논의들을 검토하는 글이다. 이 글은 비식별화와 관련된 논점들에 대하여 크게 ‘쟁점’과 ‘맹점’으로 대분하면서, 각각 2개씩의 세부주제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글의 전반부인 쟁점 부분에서는, 비식별화를 둘러싼 ‘개념 정의’와 ‘법리 구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다. 개념 정의에 대한 검토에 있어서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요소와 비식별화의 개념요소를 분석하여 현재 우리가 논의하고 있는 비식별화의 정체를 제대로 밝히고자 하였다. 법리 구성에 대한 검토에 있어서는, 현행 입법에 존재하는 비식별화와 연관되는 규정들을 검토하고 비식별화에 대한 입법을 가지고 있는 외국규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규정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쟁점 부분에서의 검토내용을 간추리자면, 현재 국내의 비식별화 정책은 그 가공의 수준에 있어 국제수준 이하인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제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그야말로 ‘무규제․무대책’의 정책이라는 것이다.
    글의 후반부인 맹점 부분에서는, 비식별화 기술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가 없는 채로 진행되어 온 지금의 법적 담론에 있어, 미처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 두 가지를 제시하고 분석한다. 먼저 비식별화의 기술적인 한계를 분석한다. 데이터에 대한 가공수준이라는 것이 그 범주의 설정에 있어 그리 명확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그 신뢰도 또한 본질적으로 높을 수가 없다는 것이 그것이다. 요컨대 비식별화 기술은 불완전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리로 데이터 가공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감당할 수 없다는 법적 한계를 분석한다. 즉 개인정보의 범위에 포섭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들에 대하여는 새로운 보호법익의 도입을 통하여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필자는 프라이버시권의 새로운 가능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discussion needed for progress on the occasion of current domestic debate situation that remains in a state of constant confrontation and standstill concerning de-identification of data. This article focuses on discussion related to de-identification of data, make classification by the point of Issue and Blind and composed of reviewing each of the two theme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focuses on a point of Issue, reviewing the ‘concept definition’ and ‘composition of legal principle’ over de-identification. On a part of the concept definition, I try to clarify real meaning of de-identification, which we are currently discussing, by analysis of the concept el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e-identification. On a part of the composition of the legal principle, through reviewing the privisions associated with de-identification which is existing in current legislation, and analysis on the content of foreign legislation associated with de-identification, I try to reveal the meaning of new provisions which discussed in the current debate. To sum up of reviewing on a point of Issue, the current domestic policy of de-identification is that excluding from reg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for data which is below the international level in processing level, means ‘no-regulation’ and ‘no-countermeasure’ ultimately.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focuses on a point of Blind, as for the current legal debate which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about technical field of de-identification, I try to present and analyze two problems that are not considered yet. First, I analyze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de-identification. That is, the level of processing for data is not so clear in the setting of the category, and the reliability is also not inherently high. In short, the de-identification technology is incomplete. Next, I argue the legal limitations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recent data processing. In other words, new types of information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countered through introduction of the new interest concept on a legal protection. About this, I proposed new possibilities of privacy rights as an altern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