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시장 퇴장과 지속에 관한 연구 : 전북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Labor Market Exit and Continuation of Baby-Boom Generation Using National Pension Big Data: Focusing on Jeonbuk and Gyeonggi Provinces)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12
59P 미리보기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시장 퇴장과 지속에 관한 연구 : 전북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 수록지 정보 : 한국경제의 분석 / 30권 / 3호 / 191 ~ 249페이지
    · 저자명 : 손종칠, 유호선, 함건

    초록

    본 연구는 국민연금 빅데이터 모집단 자료를 이용하여 전북지역 1958~1963년생 및 경기지역 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 주된 일자리 종료와 당시의 소득, 퇴직 이후의 일자리 이동, 산업별 특징, 그리고 새로운 일자리까지의 탐색 기간 및 근속 기간 등에 대한 방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전북지역 1958~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평균 50.4세에 생애 주된 일자리 종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자료 단절에 따른 연령효과를 조정하는 경우 가장 최근의 1963년생의 경우 생애 주된 일자리 종료 시점은 53세로 나타났으며 1958년생부터 시작하여 1963년생까지 생애 주된 일자리 종료 연령이 완만하게 높아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 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생애 주된 직장에서의 퇴직 연령과 퇴직 소득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에, 일자리 이동 횟수는 생애 주된 일자리 소득과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패턴은 자영업자에서도 관찰되나 사업장 가입자와 비교하면 그 격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퇴직 연령과 퇴직 소득 간의 양(+)의 상관관계는 산업별로도 관찰되었다. 셋째, 1963년생 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46세 이후 주된 직장 퇴직 후 새로운 일자리 시작까지의 탐색 기간은 평균 26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전북지역의 경우 50세까지 그리고 경기지역의 경우 53세까지 각각 일자리 탐색 기간이 증가하다 이후 탐색 기간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1963년생의 경우 주된 직장 퇴직 후 새로운 일자리에서의 근속 평균 기간은 26~27개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북 및 경기지역의 1961~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의 직장 가입자 기준 50세 이후의 계속노동 결정요인에 대한 로짓모형 추정결과, 전북지역의 경우 50세 이전에 일찍 퇴직하는 경우 더 많은 일자리 이동 경험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 시점의 소득이나 남녀 성별은 50세 이후의 계속노동 여부에 별다른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지역 1963년생 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남녀 간에 계속노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북지역과 차이를 보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extensive empirical analysis using National Pension big data on the baby-boom generation born between 1958 and 1963 in Jeonbuk and 1963 in Gyeonggi provinces. It examined the end of their main lifetime jobs, income at the time, job transitions after retirement,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the search period for new jobs, and the duration of employment at new job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baby boomers in Jeonbuk born between 1958 and 1963, the average age at which they exited their main lifetime job was 50.4 years. When adjusting for the age effect due to the 2010 data cutoff, for those born in 1963, the age of job exit was 53. The study revealed a gradual increase in the exit age from 1958 to 1963.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ge of retirement from their main job and retirement income, while the number of job transition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fetime job income for employed workers of the baby boomers. This pattern was also observed among the self-employed, though the correlation effects were smaller compared to employed workers. Furthermor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tirement age and income was also observed across different industries. Third, for employed workers born in 1963, the average search period after retiring from their main job was 26 months before starting a new job. By age, in Jeonbuk, the job search period increased until age 50, while in Gyeonggi, it increased until age 53, after which the search period gradually decreased. The average duration of employment in a new job after leaving the main job was 26 to 27 months for those born in 1963. Finally, the logit model estimation on the factors determining continued employment after age 50 for baby boomers in Jeonbuk and Gyeonggi revealed that in Jeonbuk, those born between 1961 and 1963 who retired earlier before age 50 had more job transitions. However, income at the time of retirement from the main job and gend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inued employment after age 50. In contrast, for those born in 1963 in Gyeongg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continued employment, showing a difference compared to Jeonbu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