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애 초기 교육기회와 불평등: 취학 전 교육 및 보육경험의 사회계층간 격차 (Opportunity and inequality at the starting gate: Social class difference in early care and education in Kore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12
27P 미리보기
생애 초기 교육기회와 불평등: 취학 전 교육 및 보육경험의 사회계층간 격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1권 / 4호 / 29 ~ 55페이지
    · 저자명 : 김기헌, 신인철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생애 초기의 교육기회가 가족배경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특히 취학 전 교육 및 보육 경험에 미치는 사회계층간 격차의 장기적 추세를 살펴보기 위하여 KLIP의 9차년도(2006년)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1년생(조사 당시 만15세)부터 1971년생(만 35세 미만)을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KLIPS 4차년도(2001년) 이후 11차년도(2008년)까지를 대상으로 2000년 이후 출생한 조사대상 가구의 취학 전 교육 및 보육 경험을 분석하였다.
    KLIPS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를 이항로짓모델(binary logit model)로 분석한 결과, 유치원 취원 여부와 초등 전 사교육 경험 여부에 미치는 가족배경의 영향은 매우 크고 뚜렷하였는데, 지난 시기동안 교육 경험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교육수준으로 측정된 가족배경의 영향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어린이집 경험 여부에 미치는 가족배경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KLIPS의 2001년~2008년 조사 자료를 패널로짓모델(random effects panel logit model)로 분석한 결과, 앞선 분석과는 달리 유치원과 사교육 경험 여부에 대해서도 가족배경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조사연도와 가구소득 간의 상호작용항(interaction term)을 모형에 투입한 결과 2002년까지 가구소득의 효과가 발견되다가 2004년 이후 유의미한 차이가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육 및 보육비 지원을 비롯하여 저출산․고령화 대책 일환으로 정부에서 적극적인 재정적 투자를 시작한 시점과 일치하며 최소한 취학 전 교육 및 보육 경험 여부 차원에서 사회계층간 격차는 확인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경험 여부로 측정되는 양적 차별화에서 영어 유치원 등 이용하는 교육 및 보육시설의 질적 차별화에 대한 사회계층간 격차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 on opportunity and inequality in early education before elementary school enrollment by family background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Especially to explore longitudinal trends in the experience of preschool programs by social class differentials, we compared the birth cohorts from 1991(15 years of age) to 1971(35 years of age) with pre-school aged children(0~5 years of age) between 2001(4th KLIPS) and 2008(11th KLIPS) using 'Youth Survey Module data' as an supplementary to its 9th(2006) annual survey in KLIPS.
    As a result of binary logit model analysis about KLIPS Youth Survey Module data, we found that the family backgrounds were to very strongly influence the kindergarten enrollment and experience of preschool private tutoring, except child care center. we concluded that social class differentials, as measured by parental education level, have not decreased over time despite a rapid expansion of education. Although The result of random effects panel logit model about KLPIS 2001-2008 data showed that kindergarten enrollment and experience of preschool private tutoring was not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s, we found that the household income was to influence to it until year 2001, but its effects disappeared if the model included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survey years and household incomes. The periods, disappeared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s, correspond the starting time of a huge financial investments in government as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nd it showed the results that we weren't able to find the gap between social class in preschool education and care. This results suggested a importance of longitudinal trends research, analyze from the quantitative differentials in the experiences of the preschool education to qualitative different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