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과의 공생, 그 (불)가능성: 식량문제와 보건의료 실태를 중심으로 (Conviviality of Two-Koreas and Its (Im)possibility: With a focus on Food Problem and Health Care Conditio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북한과의 공생, 그 (불)가능성: 식량문제와 보건의료 실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사회와 다문화 / 9권 / 1호 / 133 ~ 162페이지
    · 저자명 : 모춘흥, 정병화

    초록

    본 연구는 향후 남북간 보건의료 협력의 재개에 앞서 현재 북한의 식량문제와 보건의료 실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북간 보건의료 협력은 남북간 인적, 물적 교류에 따른 한반도 건강공동체 형성과 통일 이후 남북한이 공생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 사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북한경제가 다소 호전됐으며, 그로 인해 북한 주민의 식량문제와 보건의료의 문제도 다소 개선됐다. 그러나 남한과비교할 때 여전히 북한은 만성적인 식량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붕괴된 보건의료 체계와 맞물려 북한 주민의 건강권 박탈과 의료빈곤을 가져왔다. 물론 변화된 남북관계와 사회주의문명국 건설을 위해 보건의료 분야의 재건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의 의지에 주목하면, 남북간 보건의료 협력의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과거와는 다른 남북간 보건의료회담의 전략 및 의제를 도출하기에 앞서 국제기구 자료와 북한이탈주민 인터뷰 내용에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북한의 식량문제와 보건의료 현황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이 점이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정책적 의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North Korea’s current fragile social welfare realities before resuming health care cooperation between two-Koreas. In this study, I argue that health care cooperation between two-Koreas is indispens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onviviality between the two-Koreas after unification. Actually, North Korean economy has ameliorated little by little after the inauguration of Kim Jong-un regime and along with it the sectors of North Korean foodstuffs and healthcare somewhat have improved. However, compared with South Korea, North Korea has still suffered from the chronic scarcity of food and this challenge together with devastated healthcare system brought on the deprivation of the health right and medical poverty of the North Koreans. Of course, if we pay attention to im-proved two-Korea’s relations and the will of Kim Jong-un paying great attention to reconstruction of the healthcare fiel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higher than ever.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North Korean food problems and health care situation based on an empir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port and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migrants, prior to elaborating strategies and agenda of health care cooperation between two-Koreas. This point is the acade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