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불방지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삼척지역주민들의 인식연구 (Study on the Awareness of Samcheok Local Residents on the Need for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3.12
20P 미리보기
산불방지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삼척지역주민들의 인식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수록지 정보 : Crisisonomy / 9권 / 12호 / 159 ~ 178페이지
    · 저자명 : 전수영, 이시영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산불방지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산불방지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불방지 안전점검 필요성 여부에 대하여는 “전혀 아니다”, “아니다”, “그저 그렇다”가 55명(61%)으로 안전점검 필요성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산불 발생 시 산불진압법 인식 유무에 대해서는 “그저 그렇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가 68명이 응답하여 전체의 7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지역주민들은 산불발생시 산불진압법에 대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집 주변 산불 발생 시 직접 진화 여부를 묻는 설문에서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 74명으로 전체의 8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집주변 산불 발생 시 직접 진화하겠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사전 산불진화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산불 발생 시 대피요령 및 대처방법 인식 유무를 묻는 설문에서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는 20명이 응답하여 21%로 조사되었다. 이는 산불발생 시 응답자의 1/5만이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지역주민들 대부분이 대피요령 및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향후 삼척시의 산불방지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산불발생시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산불진압법, 산불발생시 대피요령 및 대처방법, 대피장소, 화상시 응급처치법, 소화기 사용법, 산불관련 법규 등을 고려하여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여섯째, 향후 삼척시의 산불방지교육 대상자 선정 시 산불담당 공무원, 산불감시원, 산불진화대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육대상을 확대하여 지역주민(영농종사자, 유치원, 초등․중․고등학생 등)을 포함시켜 조기교육을 실시하고,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관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vids a basic resource for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rough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of Samcheok city, Gangwon province, regarding the need for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need for forest fire prevention safety checks, 55 respondents(61%) answered “Not at all”, “Not so much”, “So-so”, which indicated that the awareness of the local residents is low and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Secondly, in terms of whether being aware of forest fire fighting methods in case of a forest fire, seeing that 68 people responded “So-so” and “Not at all” which makes up 75%, it was researched that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on forest fire fighting methods is low. Therefore, education on how to fight forest fires is needed. Thirdly, the answers to the question on whether directly fighting forest fires that occur near one’s home, 44 replied “Very much(49%)” and 30 replied “Yes(32%)” which makes up a total of 81%(74 respondents) that answered they will fight the fire in person. Therefore, when selecting a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ere is a need to reflect specific contents on forest fire fighting methods. Fourthly, regarding the question asking if whether one knows how to evacuate in case of a forest fire, 20 people answered “Very much” and “Yes” making up 21%. This means that only 1/5 of the respondents are capable of carrying out the proper response measures in case of a forest fire, and so a forest fire evacuation training in accordance with each age group is needed. Fifthly, when designing a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Samcheok in the future, the local residents' opinions regarding practical helpful contents such as forest fire fighting methods, evacuation methods in case of forest fires, evacuation locations, first aid for burns, how to use fire extinguishers, forest fire related laws should be reflected. Sixthly, when selecting trainees for future Samcheok forest fire education, not only government employees in charge of forest fires, forest rangers, and forest fire fighters, but also trainees should be expanded in a long-term perspective, and local residents(farmers, pre-school childre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included to manage and promote a continuous education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risisonom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