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Precariz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ity: A Critique and Extension of The Precariat Theor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12
43P 미리보기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간과 사회 / 27권 / 4호 / 36 ~ 78페이지
    · 저자명 : 박인권

    초록

    이 논문은 불안계급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확장하여 도시에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이 불안정하게 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한국 도시의 분석에 이 개념틀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이론적으로 ‘배제’ 개념이 불안계급 이론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는 소비와 재생산관계에서의 불안정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핵심임을 주장한다.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시민단체의 활동가들을 상대로 한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실제로 사회적 배제와 공간적 배제가 이들의 불안정성을 증대시킴을 확인시켜준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참여의 부족과 상호의존적 사회관계의 결핍으로 인해 사회적 약자들의 삶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공간적 차원에서는 공간의 상품화를 내용으로 하는 도시개발 및 재개발 과정이 지대의 상승, 주거지 분리, 공공 공간의 축소 등을 초래하여 사회적약자들의 삶을 불안정화 시키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처럼 배제는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불안정하게 하여 불안계급 형성의 객관적 조건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배제는 사회적 약자들의 참여 의지와 공동체 활동 및 연대의식을 약화시켜 계급의식의 형성을 방해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사실은 배제의 극복이 사회적 약자의불안정성 극복과 이 집단의 연대와 협력을 위한 선결조건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recariat theory and theorize the precariz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ity, and to confirm its validity by applying this conceptual framework to an analysis of Korean cities. I theoretically argue that the concept of ‘exclusion’ is at the heart of explaining the precarization in the relations of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which remains blank in the theory of Precariat. An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activists of NGOs representing the socially weak corroborates that social exclusion and spatial exclusion indeed increase their precarity. In the social dimension, the lives of the weak are becoming more precarious due to the lack of participation and the lack of interdependent social relations. In the spatial dimension, urba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process involving the commodification of space leads to the rise of land rent, residential segregation, and reduction of public space, thereby precarizing the lives of the weak.
    In a nutshell, exclusion leads to the precarization of the socially weak, thereby creating the objective condition of the Precariat. However, exclusion also has the role of hindering the formation of class consciousness by weaken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solidarity of the socially weak. This suggests that the overcoming of exclusion is a prerequisite for overcoming the precarity of the weak and for promoting the solidarity and cooperation of this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간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