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불승인으로서의 형벌: 에밀 뒤르켐의 적극적 일반예방론 (Punishment as Social Disapproval: Emile Durkheim’s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사회적 불승인으로서의 형벌: 에밀 뒤르켐의 적극적 일반예방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47호 / 153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현

    초록

    범죄와 형벌의 현상은 에밀 뒤르켐의 법사회학의 구성에서 중추를 형성한다. 해석법학인 형법학의 분류에서 볼 때 그의 형벌이론은 응보론으로 대표되는 절대주의 형벌론과 일반예방론으로 대표되는 상대주의 형벌론의 단점을 비판하면서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한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의 전형적 사례에 해당한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누구도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을 본격적으로 주장한 바가 없던 시대에 전개된 일반적이면서 현대적인 형벌이론은 그에게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의 선구자라는 호칭을 부여하는 데 손색이 없도록 한다.
    이 글에서 뒤르켐의 형벌론은 그의 저서 「사회분업론」, 「사회학 방법의 규칙들」, 「도덕교육」, 그리고 그의 논문 “형벌 진화의 두 법칙”을 중심으로 하여 추출되고 해명된다. 그 과정에서 그에게 형벌이란 사회의 도덕성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사회의 반응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형벌에 대한 그의 이론은 오늘날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의 대표적 주창자인 야콥스와 하세머의 이론 가운데 하세머의 그것과 공통분모를 형성하는 부분이 많음도 드러난다. 뒤르켐에게 현대사회의 도덕성은 곧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다름 아니었으며, 이러한 현대적 집합의식은 신체형·사형·고문의 폐지, 과잉범죄화와 엄벌주의에 대한 반성, 사면권의 남발에 대한 경계 등의 일련의 규범학적 결론을 도출하도록 이끈다.
    그밖에도 그의 범죄와 형벌 이론으로부터 형법과 민사법의 분리, 인권친화적인 형집행 등 다수의 시사점을 획득할 수 있거니와, 몇 가지 맹점이나 취약점에도 불구하고 한 세기가 훌쩍 지난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의 이론은 사회학적으로나 법학적으로나 지속적인 탐구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뒤르켐을 매개로 사회학과 법학 사이에 대화가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ory of crime and punishment is the mainstay of Emile Durkheim’s sociology of la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of punishment has much in common with the theory of puishment as ‘positive general prevention’, recently advocated in Germany by Günter Jakobs, Winfried Hassemer and many others, and rapidly gathering supporters here in Korea as well. There seems to be no excessiveness in saying that Durkheim was a precursor of the recent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Durkheim conceives of punishment as a reaction of society to express and communicate social morality (conscience collective)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o the criminal. In a word, punishment is a social disapproval or blame, of which pain is not an essential element. This conception of punishment as a social disapproval is the key feature of the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in which Jakobs’ theory differs quite a bit from that of Hassemer. While Jakobs puts stress on the protection of society, Hassemer’s theory has its distinctive feature in the humanitarian relationship with the crime.
    Among these divergent opionions, Durkheim’s theory, at least his theory on the punishment in modern society, seems to have much more in common with Hassemer’s. Collective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Durkheim, is a product of long-term development of morality evolving from the religious to the individual. By this individualism, or “cult of the individual”, harsh punishment has been repealed, prison has become almost the only kind of punishment, and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 he says, should be entirely prohibited.
    Durkheim’s sociological thoery of law and punishment has abundant stimulating suggestions and lessons, which hopefully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sociology and legal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