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 아카이빙을 통한 불이농촌의 주거지 형성과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Fuji Farm Community through Local Archiv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지역 아카이빙을 통한 불이농촌의 주거지 형성과 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38권 / 2호 / 3 ~ 14페이지
    · 저자명 : 정재욱, 박성신

    초록

    현재 진행중인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 아키이빙은 지역재생을 위한 필수 과정이자 학술연구 및 현장조사를 보완하는 기본적 방법이다. 로컬 아카이빙은 [1단계] 기초조사 및 지역사회 관계망 형성 → [2단계] 현장조사 → [3단계] 연구실증 → [4단계] 연구활용의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첫째,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상호보완하여 지역을 연구할 수 있다. 둘째, 지역공동체가 지닌 공동의 기억을 정리함으로써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역정체성 수립 및 지역자산에 대한 인식을 확고히 할 수 있다. 셋째, 아카이빙 결과를 지역사공동체와 공유하고 재생사업에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다. 최근 도시재생사업 과정이 진행된 군산시 개원‧미창마을을 대상으로 지역 아카이빙을 통한 불이농촌의 주거지 형성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신일본 이상촌’의 건설을 목적으로 일본 현지에서 일본인들을 이주시켜 불이농촌이 건설되었다. 1920년대에 간척을 통해 형성된 불이농촌은 일본 각 부현에서 일본인들이 집단으로 이루어졌고 개원‧미창마을은 총 30호 규모로 이루어져 있었다. 해방 후 빈집과 토지는 한국인들에게 불하되었고 주민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80년대 산단 조성으로 산단의 배후지원 주거지역으로 마을은 발전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산단과 인접한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인해 마을은 인구감소와 쇠퇴를 겪고 있다. 초창기 불이농촌은 동일한 규격과 재료를 적용한 표준주택을 10호 단위로 건축해 마을을 형성했다. 일본과 한국 주거양식을 혼용한 표준주택은 다다미방, 온돌방, 부엌, 창고가 병열배치된 일자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 불이농촌 주택은 한국 주거양식과 생활편리에 의해 실거주자의 사용환경에 맞추어 개조 및 증축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undergo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ocal archiving is an essential process for local regeneration and a basic method to complement academic research and field survey. Local archiv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Step 1] Basic Survey and Community Networking → [Step 2] Field Survey → [Step 3] Verification & Investigation → [Step 4] Utilization of Archiving Data. First, local archiving makes possible to access the integrated result. Second, local archiving with the common memories of the local community, could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establish a local identity and to solidify the awareness of local assets. Third, it contributes to the local community by sharing the archiving result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using them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cently, in the cours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chiving was conducted for Gaewon and Michang villages located in Gunsan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Fuji Farm Community. Agricultural immigration of the Fuji Farm Communit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struct a new Japanese ideal village. Through reclamation in the 1920s, a group of Japaneses from various districts migrated into the area generated in the Fuji Farm. Gaewon and Michang village consisted of 30 households in that period. After liberation, the empty houses and lands were sold to Koreans, and the residents were mainly engaged in agriculture. With the industrial complex in the 1980s, the village developed as a residential area for industrial complex. However, since the 2000s, the village declined and residents left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red from the industrial complex. At the beginning of the village, the standard houses were built in units of 10 buildings. The standard house, within a mixture of Japanese and Korean housing styles, consisted of tatami-room, ondol-room, kitchen, toilet and storage arranged in parallel. Spatial changes have occurred continuously due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transition to Korean life style and pursuit of living conven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