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특허법상 특허발명의 불실시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Non-working of Patented Inventions under the Indian Patent Law)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9
21P 미리보기
인도 특허법상 특허발명의 불실시에 관한 고찰(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8권 / 3호 / 461 ~ 481페이지
    · 저자명 : 윤선희

    초록

    세계 각국은 자국에서 특허발명을 취득한 후에 해당 특허발명을 자국에서 실시하지 않으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허법의 목적이 기술의 이용을 통하여 산업발전을 이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허법은 발명자에게 독점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며, 발명이라는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그 발명의 이용을 통하여 보다 나은 기술로의 발전을 위함이고, 더 나아가 해당 발명의 이용을 통하여 산업이 발전하여 국민 모두의 생활이 편리하고 윤택하게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특허법은 제1조에 목적규정을 두고 있어 특허권을 취득한 후 특허발명을 실시하지 않으면 특허법의 목적이나 제도의 취지에도 벗어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은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서 특허법상 불실시(不實施) 규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특허법은 목적과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불실시의 경우에 권리를 취소한다든가 또는 강제실시권을 허여한다든가, 실시보고를 하게 하는 등의 규정을 두어 특허제도의 취지를 살리고 있다. 그러나, 특허제도의 취지를 살리고자 하는 불실시(不實施) 규정들은 각국마다 법률요건이나 성질면에서 상이(相異)하다. 특히, 인도의 특허법은 우리나라의 특허법과 달리 특허발명의 실시보고를 의무화하여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 형사벌을 부과하며, 실시보고의 이행유무에 따라 특허청장이 제3자에게 강제실시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우리 특허법상의 특허취소는 등록요건과 선출원에 위반한 경우에만 당사자가 이를 신청하여 심결로써 취소할 수 있게 만든 제도인데 반해, 인도의 특허취소는 강제실시권의 부여 후 2년이 경과해도 공중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특허청이 직권으로 해당 특허권을 취소시킬 수 있다. 또 인도는 우리나라와 달리 실시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벌칙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100만 루피(한화 약 2000만원) 이하의 벌금, 또 고의로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출한 경우에는 6개월 이내의 징역이나 벌금 또는 이를 병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인도 특허법상의 불실시에 대한 조치를 2020년 개정된 특허규칙의 실시보고의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f a patentee does not work the invention after a patent is granted, corresponding measures are taken in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on the grounds that it does not serve the purpose of the patent system. The patent law aims to grant an inventor an exclusive right while promo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the use of technology. This is not only to revive the creative activities of invention, but also to enable all citizens to benefit from the convenience and prosperity of life through the use of the invention. The patent law is a system established to achieve this goal for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by utilizing inventions. Thus, if a patented invention is not worked after a patent has been granted, it will deviate from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patent law. As a result, each country's patent legislation includes a countermeasure for non-worked patents.
    If a patent is not worked, it will not serve the purpose for which it was enacted. Accordingly, each country, including Korea, is utilizing the patent system's purpose by inserting provisions in the Patent Act such as revocation of rights, grant of compulsory licenses, and a report on working of patent. However, the provisions on the non-working of patented inventions that seek to preserve the purpose of the patent system differ in each country in terms of legal requirements and nature. In particular, unlike the Korean Patent Act, the Indian Patent Act requires the working of a patented invention to be reported. In the event that this regulation is violated, criminal penalties will be imposed, and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may grant a compulsory license to a third party based on whether the patented invention is worked.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Act, a patent can only be revoked by a trial decision if the applicant violates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and prior application. In the case of patent revocation in India, the Indian Patent Office (CGPDTM) has the authority to revoke the relevant patent right ex officio if the public demand is not met even after two years have passed since the grant of the compulsory license. Furthermore, unlike Korea, India has penalty provisions for failing to submit a patent working report. It is specifically stated that a fine of up to 1 million rupees (approximately 20 million korean won) or, in the case of intentionally submitting false information, 6 months in prison or a fine, or both, can be imposed.
    This paper examines the measure for non-working patented inventions under Indian patent law, focusing on the obligation to report working of patent under the patent rules revised in 2020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aten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