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찰 ‘찰(刹)’의 어원 규명과 불교계 통용 오류 검증 (Investigation of Etymology of a Word ‘Chal(刹)’ from Temple and Verification of Fallacy, Circula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2
14P 미리보기
사찰 ‘찰(刹)’의 어원 규명과 불교계 통용 오류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32권 / 1호 / 47 ~ 60페이지
    · 저자명 : 이희봉

    초록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가장 기본적 언어, 사찰(寺刹)의 원 뜻을 모르고 있다─산스크리트의 한자 번역 오류로 인하여. 인도에서 붓다 입멸 후 진신사리를 묻은 스투파를 공경하여, 꼭대기에 씌운 양산 ‘차트라(chattra)’가 존엄의 상징이 되었다. 스투파는 중국으로 전파되어 탑이 되고, 꼭대기의 중심점 양산은 ‘찰다라(刹多羅)’로 음사, 약칭 찰(刹)이 되었고, 점차 탑 전체를 지칭하게 되었다.
    초기 북위(北魏)시대까지 사찰은 낮은 승원 사(寺)와 높이 솟은 공경 탑(塔)으로 구성되어 ‘탑사(塔寺)’로 불렸는데, 탑은 찰(刹)이므로 찰사의 어순만 바뀐 같은 단어가 사찰(寺刹)이다. 그런데, 7세기 당(唐) 시대에 한 승려가 통용되던 양산 찰다라 찰(刹)을 부정하고, 땅 불토(佛土)라며 엉뚱하게 사전을 펴내, 후속 역경자들이 그대로 받아 널리 퍼지게 되었다─땅 ‘크쉐트라(kshetra)’는 찰다라와 음이 전혀 맞지 않음에도.
    상황을 악화시킨 것은 백여 년 전 근대학문의 선구 일본인들로서 오류를 그대로 베껴, ‘크쉐~’ 발음이 ‘차~(刹)’ 발음과 전혀 다름에도 불구 음사(音寫)라고 주장하면서 찰이 땅 불토라는 사전을 편찬하였다. 그 후 현대 학문에서조차 후진들이 아무 의심이나 검증 없이 답습하여, 터무니없는 오류가 일본을 집단적으로 광범위하게 지배하게 되고, 한국 불교계도 자동 종속되어버렸다. 원 뜻 양산의 사찰 찰의 장구한 역사에 무지한 채로는 사찰을 전혀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 또 이번에는 찰주(刹柱). 찰간지주(刹竿支柱), 표찰(表刹)에서처럼 뜬금없이 찰(刹)이 장대라는 착란 같은 오류가 통용된다. 불교계를 지배하는, 찰(刹)이 땅 불토라든가 장대라는 주장은 허위임을 인식하여 바른 불교를 되찾아야 할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옛 경전과 사전의 번역 한자(漢字)의 산스크리트 원어를 하나하나 찾아내어 대조 분석하고, 현재 통용되고 있는 문헌들과 비교하여 진위를 검증하고, 탑 양산 연관 실물로써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Due to a mistranslation of Sanskrit to Chinese, East Asian Buddhist community misunderstand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fundamental word, ‘sachal(寺刹)’. Sanskrit chattra, a parasol on top of a venerated Indian stupa buried with Buddha’s sarira, became the symbol of majesty. The Indian stupa was transformed into a pagoda in China, and the highlighted parasol on the summit was transliterated into chaldara(刹多羅), an abbreviation for chal(刹), and finally designated the whole pagoda(塔). Sachal consists with lying low monastery and high-rise pagoda. Tapsa(塔寺), an archaic word of temple, is exactly the same as sachal, because chal means tap, pagoda.
    However, during the 7th century a Buddhist monk erroneously double-transliterated the Sanskrit ‘kshetra,’ meaning of land, into the same word as chal, even despite phonetic disaccord. Thereafter, sutra translators followed and copied the error for long centuries.
    It was the Japanese pioneer scholars that worsen the situation 100 years ago, to publish Sanskrit dictionaries with the errors insisting on phonetic transliteration, though pronunciation of ‘ksh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cha-.’ Thereafter, upcoming scholars followed their fallacy without any verification. Fallacy of chal, meaning of land, dominates Buddhist community broadly, falling into conviction of collective fixed dogma in East Asia up to now. In the Buddhist community, it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to recognize that the same language has become to refer completely different objects due to translation errors.
    As a research method, searching for corresponding Sanskrit words in translated sutras and dictionaries of Buddhism is predominant. Then, after analyzing the authenticity, the fallacy toward the truth will be corr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