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퓰리즘의 불완전한 이해와 모순성 (Incomplete Understanding of Populism and Its Contradi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3.08
29P 미리보기
포퓰리즘의 불완전한 이해와 모순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제도∙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제도와 경제 / 7권 / 2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성규

    초록

    지난 20여년 동안 많은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포퓰리스트 운동들이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며 그로 인해 주류 정치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왔다.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포퓰리스트 운동들은 종종 일시적인‘병리증후’의 하나로만 인식되고 있다.
    포퓰리즘은 매우 모호한 개념으로 학자들 간에도 개념적으로 통일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포퓰리즘은‘기존의 권력구조와 사회의 지배적인 사고나 가치에 대항하여 민중들에게 호소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불완전한 개념 정의이다. 포퓰리즘에 대한 올바른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다. 즉,“민주주의 사회에서 대중(민중)의 이익을 보호해야할 지도자들이 오히려 대중들을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에서‘대중 속으로’라기보다는 대중 밖으로 소외화(疏外化)시키거나, 대중(大衆)을 소중화(小衆化)시키고, 대중들의 삶을 빈곤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포퓰리즘은‘말(정치적 구호 또는 수사)로는 대중(민중 또는 서민)들을 위한다(‘인기영합’)고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대중들에게 피해를 주는 민주주의의 병리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포퓰리즘은 반쪽만 있고, 나머지 반쪽은 없는 개념과 같다. 왜냐하면 말로는 대중(서민)들을 위한다고 하지만, 결과는 대중(서민)들에게 오히려 피해만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남미 국가에서의 포퓰리즘이 우리에게 주는 역사적 교훈은 매 번, 매 지도자들마다 그리고 매 경우마다 다른 모습을 띠워 왔지만, 공통적으로‘경제적 파탄과 붕괴’를 초래하였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ncomplete understanding of populism and its contradiction deeply rooted in a Korean political society. At present, Korea is apparently the kaleidoscope of populism: welfare populism, free populism, half-tuition-fee populism, good or bad populism, right-wing or left-wing populism, anti-corporation populism, etc.
    Literally, populism is well defined by M. Canovan(1999) as “an appeal to the people against both the established structure of power and the dominant ideas and values”, and it is often referred to as pathological symptoms in a democratic society. Here the people implies the poor, or little or common or ordinary people. Populist politicians and leaders use the rhetoric of aggressively defending the interests of the common man against the privileged elite. However, any populist policies end up hurting rather than help the poor. In reality, the populism tends to eventually lead to economic crisis and collapse which affect negatively the people initially intended to favor. This is a big irony. Furthermore it is proved by the historical evidence, particularly the one in Latin America. There has been no evidence that populist policies were helpful to the ordinary people. Thus, there are great concerns that irresponsible populist policies are not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oor or ordinary maj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