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남북조시대 ‘관세음불(觀世音佛)’ 연구 (A Study on the “Avalokitêśvara śvara Buddha”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10
27P 미리보기
중국 남북조시대 ‘관세음불(觀世音佛)’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221 ~ 247페이지
    · 저자명 : 소현숙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남북조시대 ‘관세음불’의 등장에 주목, 그 조성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기 관세음불 유포의 출현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현존하는 남북조시대 관세음불상은 5세기 말에 등장해, 적지만 6세기 동안 꾸준히 제작되었다. 형태는 크게 불상형과 보살형으로 나뉜다. 보살형의 경우, 명문에 ‘부처’로 기록되어 관세음불임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문자가 형상을 대체한 것으로 산동성 일대에서 조성된 “觀世音佛” 각석이 있다.
    남조의 관세음불 수량이 북조에 비해 매우 적은데, 이는 현존하는 남조 불교 조상의 숫자가 적은 것과 관련이 있다. 남조에서 관세음성불과 관련된 경전이 다수 찬술된 점은 남조에서 관세음불이 다수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북조의 경우 북위, 동위, 북제에서 모두 관세음불이 제작되었다. 분포 지역을 보면, 산동및 낙양 일대, 그리고 하북과 산서 지역까지 중국의 동부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이 가운데서도 산동 동부와 낙양 인근에서 가장 많이 조성되었다. 현재로서는 서위 북주시대의 서부 지역에서 관세음불의 사례를 찾을 수 없다.
    관세음불 신앙은 관세음의 성불을 논한 중국 찬술 경전의 유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6세기 승려들에 의해 찬술된 경전의 논소(論疏)를 살펴보면, 관음의 성불 여부, 그리고 관음이 부처인지, 아니면 보살인지에 대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주로 언급된 경전은 『관음수기경(觀音授記經)』, 『관세음삼매경(觀世音三昧經)』, 그리고 『홍맹혜해경(弘猛慧海經. 觀世音十大願經)』이다. 앞의 두 경전은 남조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된 것으로 남조의 관세음불 조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북조의 관세음불 신앙은 좀 더 복잡하다. 불명경류 경전의 영향, 『법화경』의 영향 등이 간취되며, 나아가 중국 찬술 경전인 『홍맹혜해경』의 영향도 보인다.
    현존하는 관세음불의 수량은 20여 건으로 매우 적지만, 그 신앙 배경은 상술한 것처럼 상당히 복잡한데, 이는 당시 관음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다시 말해 관세음불의 출현은 관음신앙의 유행을 반영하는 또 하나의 지표라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China,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appeared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and during the 6th century it was produced in small quantity but steadily. The image of “Avalokitêśvara Buddha” can be divided into Buddha costume and Bodhisattva costume, the latter have “Buddha” inscription. In addition, characters have replaced shapes, cliff carvings engraved with “觀世音佛” also appeared.
    There are only two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Southern Dynasties. However, in the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Chinese translations of Buddhist sutras and publications of pseudo-sutras related to “Avalokitêśvara Buddha”, so we should presume that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Southern Dynasties were more popular. In the sixth century Northern Dynasties,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were constantly made. It is widely distributed in Shandong(山東), Henan(河南) Luoyang(洛陽), Hebei(河北) and Shanxi (山西) provinces. Among them,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were most produced in Shandong and Luoyang Area.
    The popularity of “Avalokitêśvara Buddha” belief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 compilation of Buddhist sutras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In the works of monks active in the sixth century, it is often mentioned that Avalokitêśvara becomes Buddha. The most mentioned sutras in these books are: the Gunyin souji jing(觀音授記經), the Guanshiyin sanmei jing(觀世音三昧經), and the Hongmenghuihai jing(弘猛慧海經). The Guanshiyin sanmei jing and the Hongmenghuihai jing are pseudo-sutras written in China, belong to the so-called the “Chinese Buddhist apocrypha”.
    The Gunyin souji jing and the Guanshiyin sanmei jing were translated or written separately from those of the Southern Dynasties, so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two sutra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pread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On the other hand, the belief in “Avalokitêśvara Buddha” of Northern Dynasties is more complicated. The belief in the Buddha Names,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and the Hongmenghuihai jing all play an important role.
    Materials related to the “Avalokitêśvara Buddha” are relatively rare, with only more than 20 pieces, but the background of its belief was more complex, which reflected the high attention paid to Avalokitêśvara belief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