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산기부 활성화를 위한 입법 과제 - 유류분 제도 및 공익법인의 지배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 (Überlegungen de lege ferenda zum Nachlass-Spenden im Hinblick auf das Pflichtteilsrecht und der Governance der gemeinnützigen Organisatione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5
30P 미리보기
유산기부 활성화를 위한 입법 과제 - 유류분 제도 및 공익법인의 지배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3권 / 2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우

    초록

    우리 국민 중에는 고령이나 질병으로 인한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재산 전부 또는 일부를 공익활동을 위하여 기꺼이 바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기부를 흔히 “유산기부”라고 한다. 이러한 유산기부는 고령화 시대, 핵가족 및 무자녀 시대를 배경으로 앞으로 점점 더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유산기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제도의 개선이 절실히 요청된다. 피상속인이 유산기부를 해도 유족이 피상속인의 사망 후 유류분권을 이유로 이행을 거절한다면 피상속인의 유지(遺志)는 아예실현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실현될 위험이 있다. 유류분권리자는 이행되지 아니한 유류분을 침해하는 기부행위에 대하여 그 이행에 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점에서 유류분 제도는 유산기부에 대한 최대의 법적 장애물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유류분 제도는 피상속인이 생전에 비록 전적으로 재산을 형성했다 하더라도 그의 사후에 그 재산의 운명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없게 만든다. 이 권리는 친족이 피상속인의 재산 형성에 실제로 기여했는가를 불문하고 인정된다. 친족의 경제상황과 감정적인 결속 여부도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유류분 제도에 대하여는 공감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유언 관련 상담 실무에서는 상속재산을 유류분권의 제약 없이 처분하거나 상속시키고 싶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으며, 공익목적을 위한 출연에 대해서는 유류분에 대한 특전을 인정해야 한다는목소리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류분 제도의 존재의의 내지 정당화사유를 비판적 시각에서검토함으로써 시대상황에 맞는 유류분 제도의 재설계 가능성을 논하였다.
    한편 공익법인법은 공익법인의 이사회를 구성함에 있어 가족구성원 등의 특수관계자의 수는 이사의 1/5을 넘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증세법도 특수관계인이 이사의 1/5을 초과하여 이사가 되거나, 그 밖의 임직원이 되는 경우에 가산세를 부과한다. 위와 같은 이사회 구성에 관한 규제역시 —비록 간접적이나마— 유산기부의 활성화에 장애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사가 될 수 없는 자녀가 유류분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현행법의 제약이 비교법적으로 적절한 것인지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그 완화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영어초록

    Testierfreiheit ist die zentrale erbrechtliche Ausprägung der Privatautonomie. Das geltende Pflichtteilsrecht beschränkt jedoch die Freiheit des Erblassers, das Schicksal seines Vermögens nach seinem Tode frei zu bestimmen, und zwar auch dann, wenn er es ausschließlich selbst verdient hat. Es sichert seinen nächsten Angehörigen einen Mindestanteil an seinem Nachlass in Höhe der Hälfte oder Dritte des Wertes ihres gesetzlichen Erbteils. Gleichwohl befindet sich das Pflichtteilsrecht in einer Sinnkrise. Gerade im Zusammenhang mit dem Gemeinnützikeitsrecht wird die Sinnhaftigkeit des Pflichtteilsrechts angezweifelt. Die gemeinnützige Intention des Erblassers findet nach bestehenden Recht ihre Grenze an der gesetzlich gesicherten Teilhabe der Pflichtteilsberechtigten. Es gilt daher, die Zeitgemäßheit des Pflichtteilsrechts zu überprüfen.
    De lege ferenda diskutiert man daher Möglichkeiten, die auf eine Änderungen des Pflichtsteilsregimes zugunsten gemeinnütziger Organisationen abzielen. Es fragt sich, ob die tradierten Motive des Pflichtteilsrechts auch heute noch, angesichts veränderter sozialer, wirtschaftlicher und demographischer Befunde, die mit dem Pflichtteilsrecht verbundenen Eingriffe in die Testierfreiheit zu rechtfertigen vermögen.
    Inkompatibilitätsvorschriften verbieten gewissen Person den Zugang zu Leitungspositionen explizit deswegen, weil die Gefahr widerstreitender Interessen schon aufgrund ihrer persönlichen Situation offensichtlich ist. Im geltendem koreanischen Gesetzesrecht ist von Personen den Zugang zu Leitungspositionen ausgeschlossen, die dem Zuwender nahe stehen. Die Präklusion ist aber rechtspolitisch aber sehr fraglich, wenn man an das Pflichtteilsrecht des Angehörigen denk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